코스피

2,682.52

  • 46.00
  • 1.74%
코스닥

844.72

  • 4.74
  • 0.56%
1/3

국내 30대 그룹 여성임원 비중 6.9%…5년새 2배 이상으로

페이스북 노출 0

핀(구독)!


뉴스 듣기-

지금 보시는 뉴스를 읽어드립니다.

이동 통신망을 이용하여 음성을 재생하면 별도의 데이터 통화료가 부과될 수 있습니다.

국내 30대 그룹 여성임원 비중 6.9%…5년새 2배 이상으로

주요 기사

글자 크기 설정

번역-

G언어 선택

  • 한국어
  • 영어
  • 일본어
  • 중국어(간체)
  • 중국어(번체)
  • 베트남어
국내 30대 그룹 여성임원 비중 6.9%…5년새 2배 이상으로
개정된 자본시장법 시행 영향…카카오 6개 계열사 임원 5명중 1명은 여성
삼성 여성임원 157명 '최다'



(서울=연합뉴스) 김기훈 기자 = 개정 자본시장법 시행 등의 영향으로 국내 30대 그룹의 여성 임원 비중이 5년 사이 2배 이상 커진 것으로 나타났다.
여성 임원 비중이 가장 큰 그룹은 카카오였다.
기업분석연구소 리더스인덱스는 자산 상위 30대 그룹 계열사 중 사업보고서를 제출하는 265개 기업의 여성 임원 현황 분석 결과를 19일 발표했다.
조사 결과 올해 1분기 말 이들 기업의 여성 임원은 726명으로, 전체 임원(1만561명) 가운데 여성은 6.9%였다.
여성 임원 수는 2018년 1분기(271명)보다 455명 늘었으며, 여성 임원 비중은 5년 전(3.2%)보다 3.7%포인트 상승했다.
2018년 1분기에는 여성 임원이 한 명도 없는 그룹이 8곳이었으나, 올해 1분기에는 여성 임원이 한명도 없는 그룹은 HMM이 유일했다.
또 올해 1분기 30대 그룹 265개 계열사에서 여성 임원이 없는 곳은 86곳으로 전체의 32.4%를 차지했다. 5년 전에는 조사 대상 중 여성 임원이 없는 곳이 188곳(70.9%)에 달했다.
특히 30대 그룹 계열사의 사외이사 중 여성 사외이사 비중은 2018년 1분기 2.3%(16명)에서 올해 1분기 18.1%(155명)로 15.8%포인트 상승했다.
지난해 8월부터 시행된 개정 자본시장법은 자산총액 2조원 이상 상장사의 이사회를 특정 성(性)이 독식하지 않도록 규정하고 있다.



다만 같은 기간 사내이사 가운데 여성 비중은 1.7%(12명)에서 2.8%(25명)로 1.1%포인트 늘어나는 데 그쳤다.
미등기 여성 임원의 증가세도 두드러졌다.
30대 그룹의 미등기 임원 중 여성 임원은 2018년 1분기 243명에서 올해 1분기 546명으로 증가했다.
미등기 임원 전체에서 여성이 차지하는 비중은 3.4%에서 6.2%로 2.8%포인트 상승했다.
여성 임원 비중이 가장 큰 그룹은 카카오그룹이었다. 카카오 6개 계열사 임원 84명 중 여성은 19.0%에 해당하는 16명이었다.
이어 여성 임원 비중은 네이버 18.8%(26명), CJ 15.0%(48명), 신세계 13.7%(25명) 등 순이었다.
여성 임원 수가 가장 많은 그룹은 삼성이었다.
삼성 22개 계열사 임원 2천97명 중 여성은 157명(7.5%)으로 집계됐다.
이어 SK 88명(7.8%), LG 78명(7.4%), 현대차 69명(4.9%), 롯데 53명(8.5%) 순으로 나타났다.
kihun@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실시간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