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대 금융지주 상반기 이자이익 19조…빅스텝에 더 많이 늘어날듯
"기준금리 0.25%p 오르면 이자이익 1천억원↑, 순이자마진 0.03∼0.05%p↑"
연말까지 기준금리 2.25→3.00% 예상…이자이익·이자마진 대폭 증가 전망
대출부실 대비해 2분기 충당금 1천억~3천억원 더 쌓아…'고통분담' 압력 커질듯
(서울=연합뉴스) 신호경 민선희 김유아 기자 = 국내 주요 금융그룹들이 이미 상반기 최대 이익을 거뒀지만, 현재 2.25% 수준인 기준금리가 시장의 예상대로 하반기 2.75∼3.00%까지 더 오르면 금융그룹의 이자 이익은 더 크게 불어날 전망이다.
기준금리가 0.25%포인트(p)만 높아져도 주요 시중은행의 순이자마진(NIM)이 0.03∼0.05%포인트 뛰고 이자 이익도 1천억원 이상 늘어나기 때문이다.
다만 금리가 너무 빨리 높아지면 대출 부실 위험이 커지는 만큼, 금융그룹들도 이례적으로 2분기 최대 3천억원 이상의 충당금을 더 쌓고 '미래 위험' 대비에 나섰다.
◇ 4대 금융그룹 상반기 순이익만 8조9천662억원
24일 금융업계에 따르면 KB·신한·하나·우리 금융그룹은 올해 상반기에만 약 19조원의 이자 이익을 거뒀다.
4대 금융지주의 상반기 순이자이익과 증가율(작년 동기대비)은 ▲ KB 5조4천418억원, 18.7% ▲ 신한 5조1천317억원, 17.3% ▲ 하나 4조1천906억원, 18.0% ▲ 우리 4조1천33억원 23.5%에 이르렀다.
급증한 이자 이익에 힘입어 순이익도 사상 최대 수준으로 불었다.
KB금융(2조7천566억원)과 신한금융(2조7천208억원)의 상반기 순이익이 나란히 2조7천억원을 넘어섰고, 하나금융(1조7천274억원)과 우리금융(1조7천614억원)은 1조7천억원대에 올라섰다.
KB·신한·우리금융의 올해 상반기 순이익은 각 금융지주가 출범한 이래 반기 기준으로 가장 많았고, 하나금융도 역대 최대 기록이었던 작년 하반기(1조7천733억)와 비교해 거의 차이가 없었다.
◇ 기준금리·시장금리 급등에 이자마진 '쑥'
이처럼 금융그룹의 '이자 장사'가 과거 그 어느 때보다 호황인 이유는 대출 급증과 금리 상승 때문이다.
지난 2년여 동안 코로나19 사태를 거치면서 가계와 기업 대출이 사상 최대 수준까지 불어났고, 올해 들어서도 가계대출은 다소 부진하지만 주요 시중은행의 기업대출이 5% 안팎 더 증가했다.
대출 자산은 넘쳐나는데 작년 8월부터 시작된 한국은행의 기준금리 인상 기조가 이어지고 시장금리도 올라 대출금리가 뛰자 이자가 눈덩이처럼 불어난 것이다.
더구나 일반적으로 금리 상승기에 예금금리 인상 속도가 대출금리보다 더디기 때문에 예대마진(예금·대출 금리 차이)은 더 커질 수밖에 없다.
이후승 하나금융 최고재무책임자(CFO)는 지난 22일 실적 발표 후 콘퍼런스콜에서 "은행 대출의 변동금리 비중이 80%가 조금 넘기 때문에, 기준금리 0.25%포인트 인상 시 저희(하나은행)의 이자 이익이 1천억원 정도 늘어난다"고 밝혔다.
KB국민은행의 원화 대출 총액(2분기 말 323조원)이 하나은행(265조원)의 약 1.2배인만큼, 업계 수위의 KB·신한은행의 경우 기준금리가 0.25%포인트 오를 때마다 늘어나는 이자 이익이 1천억원을 크게 웃돌 것으로 추정된다.
이태경 신한금융 CFO도 "신한은행의 경우 기준금리가 0.25%포인트 오를 때마다 NIM(순이자마진)이 0.03∼0.04%포인트 상승한다"고 설명했다.
이성욱 우리금융 CFO는 "기준금리가 0.25%포인트 상승하면 (우리은행) NIM이 1년간 0.05%포인트 정도 높아진다"고 분석했다.
[표] 4대 금융그룹 상반기 이익 및 2분기 미래 경기 대비 충당금
(단위:억원, %)
┌───┬──────────┬──────────┬───────────┐
│ │상반기 순이익(작년동│상반기 이자이익(작년│2분기 미래 경기 대비 │
│ │기대비 증감률) │동기대비 증감률)│충당금│
├───┼──────────┼──────────┼───────────┤
│KB│27,566(11.4)│54,418(18.7)│1,210 │
├───┼──────────┼──────────┼───────────┤
│신한 │27,208(11.3)│51,317(17.3)│2,245 │
├───┼──────────┼──────────┼───────────┤
│하나 │17,274(-1.4)│41,906(18.0)│1,243 │
├───┼──────────┼──────────┼───────────┤
│우리 │17,614(24.0)│41,033(23.5)│3,308 │
└───┴──────────┴──────────┴───────────┘
※ KB·신한·하나·우리 금융지주 자료 취합
◇ 금융그룹 "연말 기준금리 3.00% 전망…NIM 계속 상승"
한은은 이미 지난 13일 초유의 빅 스텝(한꺼번에 기준금리 0.50%포인트 인상)을 밟았고, 시장은 한은이 연내 2∼3차례 0.25%포인트씩 더 올려 기준금리가 연말 2.75∼3.00%에 이를 것으로 보고 있다.
상반기 실적에는 빅 스텝 효과가 반영되지도 않은데다, 이처럼 기준금리가 당분간 계속 오를 가능성이 커 은행과 금융그룹의 이자 이익 증가세도 이어질 것으로 예상된다.
김재관 KB국민은행 CFO는 "2021년 연간 NIM과 비교해 올해 상반기 중 NIM이 0.11%포인트 개선됐다"며 "조심스럽게 예상하기로는 하반기에도 0.05∼0.06%포인트 이상의 추가 개선이 있을 것"이라고 밝혔다.
이후승 하나금융 CFO도 "현재 시장은 기준금리가 8, 10, 11월 각 0.25%포인트씩 인상돼 연말 3%에 이를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며 "(하나은행)의 NIM은 연말께 1.6%에 이를 것으로 본다"고 말했다.
이성욱 우리금융 CFO는 "올해 하반기 (우리은행) NIM이 약 1.6%대 중후반 정도, 내년에는 약 1.7% 수준까지 상승할 것"이라고 내다봤다.
이태경 신한금융 CFO 역시 "연말 기준금리를 3% 수준으로 가정하고 있다"며 "NIM은 지속적으로 상승해 3분기 신한은행 기준 1.7% 수준에 이를 것"이라고 전망했다.
◇ "금융 위기 가능성 작지만…금리 2%p 상승까지 가정하고 대비"
막대한 이익을 준 금리 상승이 대출 부실로 이어질 가능성에 대해서는 주요 금융그룹 대부분 크게 걱정하지 않는 분위기다.
임필규 KB금융지주 리스크관리총괄 부사장(CRO)은 "금리 인상으로 금융 시스템적으로 건전성에 위기가 올 것으로 생각하지 않는다"며 "작년부터 총부채원리금상환비율(DSR) 규제가 선제적으로 이뤄졌고, 최근 더 강화됐기 때문에 건전성 유지에 문제가 없을 것"이라고 낙관했다.
하지만 금융당국의 권고 등에 따라 각 금융그룹은 지난 상반기 코로나19 금융지원 종료 등 미래 불확실성과 관련한 충당금을 대거 추가로 쌓았다.
신한금융은 2분기에 2천245억원의 코로나·경기 대응 충당금을 더 적립했다. 이에 따라 상반기 관련 충당금 규모(2천990억원)는 작년 전체(1천879억원)보다 59%나 늘었다.
KB금융의 2분기 신용손실 충당금 전입액(3천331억원)도 지난해 2분기(2천237억원)보다 48.9% 많았다. 미래 경기 전망을 보수적으로 반영해 충당금을 약 1천210억원 정도 더 떼어 뒀기 때문이다. 이에 따라 상반기 KB금융의 총 신용손실충당금 전입액은 4천632억원에 이르렀다.
하나금융도 2분기 1천243억원을 선제적 대손충당금으로 쌓았다. 1분기 603억원을 포함해 상반기 1천846억원의 미래 대비 성격의 충당금을 추가했다.
우리금융 역시 2분기에만 경기·금융 불확실성을 고려해 3천308억원의 충담금을 더했다.
이태경 신한금융 CFO는 "금리 상승에 따른 이자부담 위험 등에 대한 스트레스 테스트를 거쳐 '금리 2%포인트 상승' 시나리오까지 고려해 추가 충당금을 적립했다"며 "전반적으로 신용등급, 담보비율 등으로 미뤄 대출이 양호하게 관리되고 있고, 개별적 취약차주에 대한 핀셋 정책은 지속적으로 고민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금융그룹들은 이처럼 자체적 건전성 관리에 나서는 동시에, 앞으로 정부와 정치권의 '고통 분담' 압력도 더 커질 것으로 각오하고 있다.
시중은행 관계자는 "상반기 최대 실적이 부담스러운 게 사실"이라며 "정부와 정치권이 잇따라 내놓는 취약차주 지원책의 재원에 대한 분담 요구가 더 늘어날 가능성이 크기 때문"이라고 말했다.
최근 김주현 금융위원장은 "취약층에 대한 정부의 금융지원 대책에서 빠진 부분에 대해서는 금융사가 답을 줘야 한다"고 했고, 이복현 금융감독원장도 "금융권이 정부 차원의 대책 이외에 자율적으로 취약차주 보호를 위한 다양한 노력을 기울일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shk999@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