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스피

2,758.42

  • 3.53
  • 0.13%
코스닥

862.19

  • 9.14
  • 1.05%
1/2

전동킥보드 자격 강화되자…개인형 이동장치 수입 33% 감소

페이스북 노출 0

핀(구독)!


뉴스 듣기-

지금 보시는 뉴스를 읽어드립니다.

이동 통신망을 이용하여 음성을 재생하면 별도의 데이터 통화료가 부과될 수 있습니다.

전동킥보드 자격 강화되자…개인형 이동장치 수입 33% 감소

주요 기사

글자 크기 설정

번역-

G언어 선택

  • 한국어
  • 영어
  • 일본어
  • 중국어(간체)
  • 중국어(번체)
  • 베트남어
전동킥보드 자격 강화되자…개인형 이동장치 수입 33% 감소
작년 5월 개정 도로교통법 시행 영향


(세종=연합뉴스) 박원희 기자 = 전동 킥보드 등 개인형 이동장치(PM)에 대한 규정이 강화되면서 올해 PM의 수입이 지난해보다 30% 넘게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30일 관세청에 따르면 올해 들어 지난달까지 PM의 수입액은 6천500만달러로 지난해 같은 기간(9천800만달러)보다 약 33.3% 감소했다.
개정 도로교통법이 지난해 5월 시행된 이후 PM의 수입 증가세가 둔화하는 양상이다.
개정 도로교통법은 '제2종 원동기장치 자전거면허' 이상의 운전면허증 보유자만 전동 킥보드를 운전할 수 있도록 하고 헬멧과 같은 보호장구를 착용하도록 하는 등 보다 강화된 규정을 적용한다.
지난해 PM의 수입은 전년 대비 47% 증가한 1억9천400만달러로 역대 최대를 기록한 바 있다.
올해 5월까지 PM의 수입액만 보면 작년에 이어 같은 기간 역대 두 번째로 많다.
최근 공유 서비스 확대 등으로 PM은 근거리 개인 교통수단으로서 인기를 끌었다. 2000년 이후 우리나라에 수입된 PM 207만대 중 절반가량인 95만대가 2020년 이후 수입된 것이다.
품목별로 보면 올해 전동킥보드의 수입액은 3천400만달러로 1년 전보다 45.8% 줄었다. 전기 자전거는 3천100만달러로 11.0% 감소했다.
전기킥보드에 비해 상대적으로 전기자전거에 대한 규제가 약한 편이라고 관세청은 분석했다.
수입국별로 보면 중국산 PM이 약 6천만달러로 비중이 92%에 달했다.

encounter24@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실시간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