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스피

2,656.33

  • 27.71
  • 1.05%
코스닥

856.82

  • 3.56
  • 0.42%
1/4

지난해 대졸 이상 취업률 65%로 2%P 하락…2011년 이후 최저

페이스북 노출 0

핀(구독)!


뉴스 듣기-

지금 보시는 뉴스를 읽어드립니다.

이동 통신망을 이용하여 음성을 재생하면 별도의 데이터 통화료가 부과될 수 있습니다.

지난해 대졸 이상 취업률 65%로 2%P 하락…2011년 이후 최저

주요 기사

글자 크기 설정

번역-

G언어 선택

  • 한국어
  • 영어
  • 일본어
  • 중국어(간체)
  • 중국어(번체)
  • 베트남어
지난해 대졸 이상 취업률 65%로 2%P 하락…2011년 이후 최저
코로나19 영향으로 해외 취업·1인 창업 큰 폭 하락
수도권-비수도권, 남녀 격차 더 커져…직장 초임 월 263만원, 3만원↑


(서울=연합뉴스) 이도연 기자 = 지난해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의 영향으로 대학교·대학원 졸업자의 취업률이 65.1%로 2011년 조사 시작 이래 최저치를 기록했다.
교육부와 한국교육개발원은 '2020년 고등교육기관 졸업자 취업통계' 결과를 27일 발표했다.
전국 대학과 일반대학원의 2019년 8월·2020년 2월 졸업자 55만3천521명을 대상으로 한 이번 조사에서는 지난해 12월 31일 기준 취업·진학 여부와 급여 수준, 취업 준비기간 등이 파악됐다.



◇ 수도권-비수도권, 남성-여성 취업률 차이 더 벌어져
조사 대상 중 취업자는 31만2천430명으로 취업대상자인 48만149명의 65.1%였다.
이는 2011년 이 조사가 시작된 이후 최저치이며 전년의 67.1%보다 2.0%포인트 하락한 것이다.
코로나19 발생 이후 첫 취업률 조사로, 코로나19 영향을 크게 받아 하락 폭이 컸던 것으로 분석된다.
분야별 취업자 수를 보면 건강보험 직장가입자가 28만4천359명, 해외취업자가 1천131명, 1인 창업·사업자가 5천317명, 프리랜서가 1만8천139명이었다.
건강보험 직장가입자와 프리랜서 비율은 전년보다 각각 0.6%포인트, 0.1%포인트 상승했지만, 해외취업자와 1인 창업·사업자는 각각 0.5%포인트, 0.2%포인트 하락했다.
교육부 관계자는 "코로나19 영향으로 지난해 해외 취업이 쉽지 않았고 1인 창·사업을 위해서는 경기가 안정돼야 하는데 그렇지 못해서 창업이 저하된 것으로 파악된다"고 설명했다.
학제별 취업률을 보면 일반대학원이 80.2%로 가장 높았고 일반대학은 61.0%로 가장 낮았다.
전년과 비교하면 일반대학원을 제외하고 전문대학(-2.2%P), 대학(-2.3%P), 교육대학(-2.4%P), 산업대학(-1.0%P), 각종학교(-1.1%P), 기능대학(-1.2%P) 등 모든 학제에서 취업률이 떨어졌다.
계열별로는 의약계열(82.1%)과 공학계열(67.7%) 취업률이 전체 취업률보다 높았지만, 인문계열(53.5%), 사회계열(60.9%), 교육계열(62.1%), 자연계열(62.3%), 예체능계열(62.2%)의 취업률은 더 낮았다.
전년보다 모든 계열의 취업률이 하락했지만, 인문계열(-2.7%포인트), 사회계열(-2.5%포인트), 예체능계열(-2.3%포인트), 공학계열(-2.2%포인트)은 변동 폭이 2% 포인트 이상으로 특히 컸다.
수도권과 비수도권의 취업률 차이도 벌어졌다.
수도권 고등교육기관 졸업자의 취업률은 66.8%로 비수도권 취업률인 63.9%보다 2.9%포인트 높았다. 전년 두 지역의 차이인 2.7%포인트보다 격차가 더 벌어진 것이다.
수도권 지역과 비수도권 지역의 취업률 차이는 2017년 2.1%포인트, 2018년 2.2%포인트 등으로 매년 커지고 있다.
시도별로 보면 17개 시도 중에서 서울(67.3%), 인천(67.3%), 대전(67.3%), 울산(66.8%), 경기(66.0%), 충남(65.7%), 전남(67.4%)은 전체 취업률보다 높았다.
성별 취업률 차이도 매년 더 벌어지고 있다.
지난해 남성 졸업자의 취업률은 67.1%, 여성 졸업자는 63.1%로 4.0%포인트 차이가 났다.
남녀 취업률의 차이는 2017년 3.0%포인트, 2018년 3.6%포인트, 2019년 3.8%포인트로 매년 커지고 있다.
조사대상 졸업자들이 1년 후에도 직장 취업자 자격을 유지하는 비율인 유지취업률은 80.0%로 전년보다 0.2%포인트 떨어졌다.
계열별로 보면 의약계열(84.2%), 공학계열(83.9%), 교육계열(82.3%)은 전체 유지취업률보다 높게 나타났지만, 인문계열(74.1%), 사회계열(78.9%), 자연계열(77.6%), 예체능계열(66.9%)은 더 낮았다.
지역별 유지취업률은 수도권 80.9%, 비수도권 79.3%로 1.6%포인트의 차이를 보였고 성별 유지취업률은 남성 졸업자 82.4%, 여성 졸업자 77.5%로 4.9%포인트의 차이가 났다.


◇ 직장 취업자 월평균 소득 263만 원…중소기업 취업이 48%로 가장 많아
건강보험 직장가입 취업자 중 상세 취업 정보가 있는 27만9천700명의 월평균 소득은 262만9천 원으로 전년(259만6천 원)보다 3만3천 원 늘었다.
학부 졸업생의 월평균 소득은 244만1천 원으로 전년(241만6천 원)보다 2만5천 원, 일반대학원의 월평균 소득은 449만3천 원으로 전년(446만2천 원)보다 3만1천 원 상승했다.
취업자 중 졸업 전 취업한 사람이 35.2%로 가장 많았고 그다음은 졸업 후 3개월 이내(22.7%), 9개월(16.4%), 6개월(14.9%), 10개월 이상(10.8%)의 순이었다.
취업 기업 유형별로 보면 중소기업이 48.3%로 가장 많았고 비영리법인(17.4%), 국가 및 지방자치 단체(10.1%), 대기업(8.5%), 중견기업(7.4%), 공공기관 및 공기업(4.9%) 등이 그 뒤를 이었다.
2019년 대학·대학원 졸업자 중 취업 후 1년 내의 이직 등 일자리 이동률은 17.4%로 전년(19.1%)보다 1.7%포인트 감소했다.
dylee@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실시간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