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니 찾은 美국무 "인도·태평양서 군사·경제관계 확장"(종합2보)
"위협 진화 따라 한국 등 동맹과 결속 강화" 중국 견제…한미일 협력도 거론
"인도·태평양서 충돌 원치 않고 진지한 대북외교 추구…확장억제 강화할 것"
(자카르타·워싱턴=연합뉴스) 성혜미 백나리 특파원 = 토니 블링컨 미국 국무장관은 14일 인도·태평양에서 중국의 공격적인 행동에 대응해 아시아의 동맹 및 파트너들과 군사 및 경제 관계를 확장할 것이라고 밝혔다.
안타라통신과 외신들에 따르면 아세안(동남아시아국가연합) 3개국을 순방 중인 블링컨 장관은 이날 인도네시아국립대에서 한 강연에서 인도·태평양 지역의 중요성과 미국의 전략에 관해 연설하면서 이 지역 국가들과 다방면의 협력 강화를 공언했다.
블링컨 장관은 조 바이든 행정부가 인도·태평양 지역의 평화와 번영을 위해 전념하고 있으며, 동맹관계 증진과 새로운 관계를 형성해 미군의 경쟁력을 유지할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위협은 진화하고 있고, 우리의 안보 접근방식은 위협과 함께 진화해야 한다"며 "이를 위해 우리는 가장 큰 힘인 동맹들과 파트너십에 기댈 것"이라고 밝혔다.
이어 "우리는 외교, 군사, 정보 등 모든 면에서 동맹 및 파트너들과 더 긴밀하게 결합하는 전략을 채택할 것"이라며 "여기에는 미국과 아시아 방위산업 연계, 공급망 통합, 기술혁신 협력 등이 포함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블링컨 장관은 한국, 일본, 호주, 필리핀, 태국 등 조약동맹인 역내 5개국과 결속을 강화할 것이라고 했다.
이어 동맹 내 협력을 더 강화할 것이라며 한미일 협력과 오커스(AUKUS), 쿼드(Quad)를 예로 들었다.
오커스는 미국이 핵추진 잠수함 보유지원까지 약속하며 지난 9월 호주, 영국과 구성한 새 안보동맹이다. 쿼드는 미국·일본·인도·호주 간 비공식 협력체로 바이든 행정부 들어 무게감을 한층 키우고 있다.
블링컨 장관은 수십년간 해왔던 대로 힘의 강화를 통해 평화를 유지할 것이고 인도태평양에서의 충돌을 원하지 않는다면서 "이것이 우리가 북한과의 진지하고 지속적인 외교를 추구하는 이유"라고도 했다.
그는 "궁극적 목표는 한반도의 비핵화"라며 동맹과의 실용적이고 조정된 접근으로 북한의 위협에 대응하는 한편 확장억제도 강화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그는 이 지역 국가들에 미국과 중국 중 하나를 선택하도록 강요하거나 규범에 기초한 질서 수호로 특정국을 억누르려는 것은 아니라고 주장했다.
하지만 그는 중국이 공해(公海)를 자신의 것이라 주장하고, 공기업에 보조금을 지급해 시장을 왜곡하고 있으며, 자신들의 정책에 동의하지 않는 국가에 대한 수출을 거부하거나 거래를 취소한다고 문제점을 열거했다.
블링컨 장관은 "이 지역의 국가들이 (중국의) 이러한 행동이 바뀌길 원한다. 우리도 마찬가지"라며 "우리는 남중국해에서 항해의 자유를 보장할 것이며, 대만해협의 평화와 안정에 대해 지속적인 관심을 가지는 것도 마찬가지 이유"라고 말했다.
블링컨 장관의 이번 아세안 3개국 방문은 바이든 대통령이 민주주의정상회의를 소집해 대중 공조의 토대 강화를 시도한 뒤 이뤄졌다. 국무장관이 직접 인도·태평양 지역을 찾아 대중 공동대응을 위한 협력을 당부하며 중국 견제의 의지를 재확인한 셈이다.
이밖에 블링컨 장관은 미얀마의 쿠데타 사태와 관련해 군부가 무차별적 폭력을 중단하고, 체포자를 석방하며 포용적 민주주의의 길로 가도록 압박하기 위해 동맹국·파트너들과 계속 협력할 것이라고 밝혔다.
블링컨 장관은 이후 기자회견에서 이란 핵 협상과 관련해 "현재로서는 외교가 최선의 선택이기에 계속 노력하고 있지만, 동맹·파트너들과 대안에 대해서도 적극적으로 논의하고 있다"고 말했다.
미국 바이든 행정부는 아세안 국가들과 협력 강화를 통해 중국·러시아를 견제하는 데 공을 들이고 있다.
미국은 지난 2017년 도널드 트럼프 전 대통령 시절 마닐라 회의를 끝으로 아세안 정상회의에 줄곧 불참했고, 주 아세안 미국 대사도 임명하지 않는 등 아세안 국가들과 소원한 관계를 유지했다.
하지만 바이든 대통령은 올해 10월 화상으로 열린 아세안 정상회의에 참석했고, 지역 발전을 위해 1억200만 달러(약 1천190억 원)의 신규 지원을 약속하는 등 부쩍 달라진 행보를 보인다.
noanoa@yna.co.kr, nari@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