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스피

2,687.44

  • 31.11
  • 1.17%
코스닥

869.72

  • 12.90
  • 1.51%
1/4

같은 정규직 대졸초임인데…대기업 5천84만 vs 5인미만 2천611만

페이스북 노출 0

핀(구독)!


뉴스 듣기-

지금 보시는 뉴스를 읽어드립니다.

이동 통신망을 이용하여 음성을 재생하면 별도의 데이터 통화료가 부과될 수 있습니다.

같은 정규직 대졸초임인데…대기업 5천84만 vs 5인미만 2천611만

주요 기사

글자 크기 설정

번역-

G언어 선택

  • 한국어
  • 영어
  • 일본어
  • 중국어(간체)
  • 중국어(번체)
  • 베트남어
같은 정규직 대졸초임인데…대기업 5천84만 vs 5인미만 2천611만
경총, 대졸초임 분석 결과…성과급 제외해도 300인이상 사업체가 높아
"일본보다 대졸 초임 높고 사업체 규모에 따른 격차도 더 커"

(서울=연합뉴스) 장하나 기자 = 국내 300인 이상 사업체의 정규직 대졸 신입근로자가 작년에 받은 초임은 초과급여를 포함해 평균 5천84만원인 것으로 집계됐다.
반면 5인 미만 사업체의 정규직 대졸초임은 2천611만원으로 절반 수준에 불과했다.



한국경영자총협회(경총)는 고용노동부의 고용형태별 근로실태조사 원자료를 분석한 결과 작년 우리나라 대졸 정규직 신입근로자 초임(초과급여 포함 임금총액)은 평균 3천391만원으로 집계됐다고 4일 밝혔다.
대졸 정규직 초임을 사업체 규모별로 보면 300인 이상이 평균 5천84만원으로 가장 높았고 이어 30∼299인 3천329만원, 5∼29인 2천868만원, 5인 미만 2천611만원이었다.



초과 급여를 제외한 임금총액 기준으로 보면 전체 대졸 정규직 신입 초임은 평균 3천250만원이었다.
300인 이상 사업체가 평균 4천690만원으로 가장 많았고 이어 30∼299인 3천188만원, 5∼29인 2천795만원, 5인 미만 2천599만원 등으로 집계돼 5인 미만 사업체의 초임이 300인 이상 사업체 초임의 55.4% 수준에 그쳤다.
성과급 등 변동 상여를 제외한 고정급(정액급여+정기상여)을 기준으로 따져봐도 300인 이상 사업체 정규직 대졸초임이 4천320만원으로 가장 높았다.



경총은 이와 함께 일본과 대졸초임을 비교한 결과 우리나라 대졸초임이 모든 규모에서 일본보다 높고 규모가 커질수록 차이도 벌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고 설명했다.
물가 수준을 반영한 구매력평가(PPP) 환율 적용시 우리나라의 전체(10인 이상 사업체) 대졸초임 평균은 3만6천743달러, 일본은 2만8천973달러로 우리나라가 일본보다 26.8%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규모별로 보면 우리나라 10∼99인 사업체의 상용직 대졸초임은 3만1천522달러로 일본(2만6천398달러)보다 19.4%, 100∼499인의 경우 3만6천177달러로 일본(100∼999인 기준, 2만8천286달러)보다 27.9% 각각 높았다.
특히 우리나라 500인 이상 사업체 상용직 대졸초임은 4만7천808달러로, 일본 1천인 이상 기업체 상용직 대졸초임 2만9천941달러보다 59.7% 높았다고 경총은 전했다.
시장 환율을 기준으로 비교할 경우 전체(10인 이상) 평균은 우리나라가 2만7천379달러, 일본이 2만7천540달러로 비슷했으나 대기업의 경우 우리나라(500인 이상 사업체)가 3만5천623달러로 일본(1천인 이상 기업체, 2만8천460달러)보다 25.2% 높았다.
양국의 1인당 국내총생산(GDP) 대비 대졸초임 수준을 비교한 결과에서도 우리나라는 전체 규모(10인 이상)에서 86.0%로 나타나 일본(68.7%)보다 17.3%포인트 높은 것으로 분석됐다.



특히 대기업에서는 우리나라(500인 이상)의 1인당 GDP 대비 대졸초임 수준은 111.9%, 일본(1천인 이상)은 71.0%로 양국 간 차이가 40.9%포인트나 벌어졌다.
10∼99인 사업체 상용직 대졸초임을 100으로 놨을 때 일본 대기업(1천인 이상)은 113.4에 불과한 반면 우리나라 대기업(500인 이상)은 151.7에 달하는 등 규모별 대졸 초임 격차도 우리나라가 일본보다 더 컸다.



하상우 경총 경제조사본부장은 "이는 우리 대기업의 대졸초임 수준이 일본보다 월등히 높은 것에 주로 기인하며 이러한 현상은 일자리 미스매치와 임금격차 심화 등 각종 사회 갈등의 단초로 작용할 수 있다"고 지적했다.
이어 "연공형 임금체계와 강력한 대기업 노조가 중첩되면서 전반적인 대기업의 고임금 현상을 유도하고 있다"며 "우리 대기업도 일률적이고 연공에 기반한 임금 설정이나 인상보다는 일의 가치와 성과에 따른 합리적 보상이 이뤄질 수 있는 임금체계로 바꿔나가고, 근로자도 이에 협조해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hanajjang@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실시간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