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스피

2,656.33

  • 27.71
  • 1.05%
코스닥

856.82

  • 3.56
  • 0.42%
1/4

한은 "코로나19 정책지원 없었다면 가계 연체율 0.3∼0.6%p↑"

페이스북 노출 0

핀(구독)!


뉴스 듣기-

지금 보시는 뉴스를 읽어드립니다.

이동 통신망을 이용하여 음성을 재생하면 별도의 데이터 통화료가 부과될 수 있습니다.

한은 "코로나19 정책지원 없었다면 가계 연체율 0.3∼0.6%p↑"

주요 기사

글자 크기 설정

번역-

G언어 선택

  • 한국어
  • 영어
  • 일본어
  • 중국어(간체)
  • 중국어(번체)
  • 베트남어
한은 "코로나19 정책지원 없었다면 가계 연체율 0.3∼0.6%p↑"
"금리 오르면 저소득·저신용 다중채무자, 高DSR 채무자 부담 커져"

(서울=연합뉴스) 신호경 기자 = 코로나19에 따른 정책 지원 효과를 빼면 실제 가계대출 연체율은 현재 수준보다 많게는 0.6%포인트 정도 높은 만큼 부실 위험에 더 철저히 대비해야 한다는 분석이 나왔다.
특히 소득수준과 신용이 낮은 다중채무자 같은 취약 대출자, 소득 대비 원리금 상환비율이 높은 대출자 등은 향후 금리가 오르면 더 큰 충격을 받을 것으로 우려됐다.

◇ "지원 끝나면 연체율 높아질 것…엄격한 기준 충당금 쌓아야"
한국은행이 22일 공개한 '금융안정보고서'에 따르면 2020년 신규 가계대출의 연체율은 대출 후 4개 분기가 지난 시점 기준으로 평균 0.6%로, 2013∼2019년 이뤄진 가계대출의 같은 기간 연체율(1.0%)을 크게 밑돌고 있다.
한은은 "코로나19 이후 시행된 각종 지원 조치가 가계대출 연체율을 낮추는 데 기여했다"며 "지원 조치가 없었을 경우를 상정해 추정한 2020년 중 연체율은 현재 수준보다 0.3∼0.6%p 정도 높아지고, 올해 중 연체율은 완만한 상승세가 이어질 것"이라고 분석했다.
더구나 이 추산은 연체율이 코로나19 이전 장기 평균(2013∼2019년) 수준으로 복원된다는 가정에 따른 것으로, 코로나19로 가계대출이 가파르게 늘어 신용위험이 커진 현재 상태를 고려하면 2020년 중 연체율은 추정값보다 더 높을 수도 있다는 게 한은의 진단이다.
이에 따라 한은은 보고서에서 "금융기관은 각종 지원 조치 종료시 실제 연체율이 상승할 수 있는 만큼 보다 엄격한 기준으로 충당금을 적립할 필요가 있다"고 조언했다.



◇ "2016∼2019년 금리 상승기, 취약 대출자 연체율 2%p↑"
특히 가계대출 '취약부문'은 향후 금리 상승기에 연체율이 더 큰 폭으로 상승할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우려됐다.
취약부문은 다중채무자(3개이상 금융기관 차입)이면서 저소득(소득 하위 30%) 또는 저신용(신용점수 664점이하) 상태인 '취약 대출자'와 표준 총부채원리금상환비율(DSR)이 70% 이상인 '고(高) DSR 대출자'를 말한다.
취약 대출자, 고DSR 대출자의 연체율은 지난해 4분기말 기준 각 6.4%, 0.8%로 집계됐다. 이는 2019년 4분기말의 7.5%, 1.0%보다 오히려 낮아진 것이다. 대출 금리가 떨어지면서 채무상환 부담도 줄었기 때문이라는 게 한은의 설명이다.
하지만 취약 대출자 이외 대출자(0.3%), 중·저 DSR 대출자(0.5%)와 비교하면 취약부문의 연체율이 훨씬 높다.
더구나 취약부문의 대출 연체율은 비(非)취약부문보다 시장금리 변동에 더 크게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고DSR 대출자의 경우 과거 금리 상승기(2016년 4분기∼2019년 1분기) 연체율이 0.3%포인트 올랐지만, 같은 기간 중·저DSR 대출자의 연체율에는 변화가 없었다.

취약 대출자의 연체율도 과거 금리 상승기 2.0%포인트 높아졌는데, 이는 비취약 대출자(0.0%)를 크게 웃도는 상승률이다.
한은은 "향후 주요 선진국의 금리상승 등 대내외 충격이 발생하면 취약부문 차주(대출자)를 중심으로 연체가 늘어날 가능성이 큰 것으로 나타났다"며 "취약 대출자의 경우 대출금리가 시장금리에 민감하게 변동하는 신용대출 등의 비중이 크고, 저신용자가 많아 대출자의 채무상환 부담이 상대적으로 크게 증가하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한은은 "각종 금융지원 조치 만료와 함께 차별적 경기회복세로 취약부문의 소득여건 개선이 지연될 경우 신용위험이 더 커질 우려가 있다"며 "금융기관은 대내외 여건 변화와 함께 가계 취약부문의 연체가 급격히 증가하지 않도록 대출전략을 수립해 추진할 필요가 있다"고 조언했다.
shk999@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실시간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