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스피

2,455.91

  • 48.76
  • 1.95%
코스닥

678.19

  • 16.20
  • 2.33%
1/3

G7 회의날 미중 외교수장 통화…코로나 기원·대만 놓고 충돌(종합)

페이스북 노출 0

핀(구독)!


글자 크기 설정

번역-

G언어 선택

  • 한국어
  • 영어
  • 일본어
  • 중국어(간체)
  • 중국어(번체)
  • 베트남어
G7 회의날 미중 외교수장 통화…코로나 기원·대만 놓고 충돌(종합)
알래스카 담판 이어 또 불협화음…"코로나 기원 투명성 중요" vs "정치화 말라"
"대만압박 중단하라" vs "하나의중국 원칙 지켜라"…미, 대북정책서 中협조 주문한듯


(워싱턴·베이징=연합뉴스) 류지복 한종구 특파원 = 토니 블링컨 미국 국무장관과 양제츠(楊潔?) 중국 공산당 외교담당 정치국원이 11일(현지시간) 통화했다.
미국이 이날부터 영국에서 열린 주요7개국(G7) 정상회의에서 중국 견제에 초점을 맞춘 동맹 복원 활동에 주력하고 중국이 이런 움직임에 민감한 반응을 보이는 가운데 이뤄진 통화다.
이를 반영하듯 양측이 밝힌 통화 내용을 보면 대화와 협력보다는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기원, 대만 문제 등 현안을 둘러싸고 여전한 시각차를 드러내며 충돌한 장면이 더 눈에 띈다.
코로나19와 관련해 블링컨 장관은 세계보건기구(WHO)의 2단계 전문가 주도 연구 필요성을 포함, 바이러스의 기원에 관한 협력과 투명성의 중요함을 강조했다고 국무부는 밝혔다.
미국이 코로나19 바이러스 유출지가 우한바이러스연구소일 가능성까지 배제하지 않은 채 바이든 대통령의 지시로 자체 조사를 진행 중인 가운데 중국의 비협조와 불투명성을 지적하면서 협력을 압박한 대목으로 보인다.
반면 양 정치국원은 "일부 미국인들이 우한 실험실에서 코로나19가 시작됐다는 터무니없는 이야기를 꾸며냈다"며 "코로나19 기원 문제를 정치화하지 말고 국제 방역협력에 집중할 것을 촉구한다"고 밝혔다고 관영 중국중앙(CC)TV가 보도했다.
대만 문제에서도 블링컨 장관은 중국이 대만에 관한 압박 정책을 중단하고 양안(兩岸·중국과 대만) 문제를 평화적으로 해결할 것을 촉구했다는 게 국무부의 설명이다.
이에 양 정치국원은 "세계에는 단 하나의 중국만 있고, 대만은 분할할 수 없는 중국의 일부분"이라고 강조한 뒤 "미국이 하나의 중국 원칙을 지키고 대만 문제를 신중히 처리하기를 바란다"고 받아쳤다.
또 "대화와 협력이 미중관계의 주류가 돼야 한다"고 강조한 뒤 "중국은 미국과 충돌하거나 대항하지 않고 서로 존중하며 협력하는 동시에 중국의 주권, 안전, 발전이익을 지킬 것"이라고 말했다.
중국중앙TV 보도에 따르면 블링컨 장관이 "미국과 중국의 잦은 접촉은 양국관계에 유리하다"며 중국과 각종 교류를 확대하기를 바란다는 입장을 전했다고 돼 있지만 국무부 보도자료엔 이런 내용이 없다.
또 블링컨 장관이 "미국은 하나의 중국 원칙을 지지하고 미중 3대 연합 공보(미중 간 상호 불간섭과 대만 무기 수출 감축 등을 둘러싼 양국 간 합의)를 준수했다"고 언급했다는 중국측 보도 역시 국무부 자료에는 없다.

대신 국무부는 블링컨 장관이 홍콩에서 민주적 규범의 악화, 신장 지역에서 위구르족 등에 대한 집단학살과 범죄 등에 관한 우려를 강조했다고 돼 있다.
또 몇몇 미국과 캐나다 시민권자에 대한 중국의 자의적 억류와 출국금지 사건을 제기하면서 부당하게 억류된 이들의 즉각적 석방을 촉구했다고 국무부는 밝혔다.
이번 통화는 조 바이든 행정부 출범 후 지난 3월 미국 알래스카 담판에서 첫 대면 접촉한 두 외교 수장이 각종 현안을 둘러싼 첨예한 시각차를 재확인한 이후 이뤄진 것이기도 하다.
미국이 바이든 행정부 들어서도 경제, 기술, 인권 등 전방위 대중 공세를 강화하고 중국이 강력 반발하는 가운데 이번 통화 역시 양측 간에 여전히 대립과 갈등 구도가 부각되는 현실을 보여준 상징적 장면으로 보인다.
다만 블링컨 장관이 양 정치국원과 대북정책을 논의했다는 점은 주목되는 부분이다.
국무부는 미국과 중국이 한반도 비핵화를 위해 협력할 필요성에 초점을 맞춰 두 사람이 미국의 포괄적 대북정책 검토에 관해 논의했다고 밝혔다.
바이든 행정부는 지난 4월 말 새 대북정책 검토 완료를 선언하고 한국과 일본 등 동맹은 물론 중국, 러시아의 협력과 공조가 필요하다는 입장을 수차례 밝혀 왔다.
특히 미국은 중국이 북한에 대한 영향력이 클 뿐만 아니라 북한의 국제사회 대북 제재 회피와 불이행을 방조 내지 묵인한다는 인식에 따라 중국의 역할을 강조해 왔다.
jbryoo@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 염색되는 샴푸, 대나무수 화장품 뜬다

실시간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