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스피

2,656.33

  • 27.71
  • 1.05%
코스닥

856.82

  • 3.56
  • 0.42%
1/4

일본, 긴급사태 발령에도 코로나 확산…전문가 "연장해야"

페이스북 노출 0

핀(구독)!


뉴스 듣기-

지금 보시는 뉴스를 읽어드립니다.

이동 통신망을 이용하여 음성을 재생하면 별도의 데이터 통화료가 부과될 수 있습니다.

일본, 긴급사태 발령에도 코로나 확산…전문가 "연장해야"

주요 기사

글자 크기 설정

번역-

G언어 선택

  • 한국어
  • 영어
  • 일본어
  • 중국어(간체)
  • 중국어(번체)
  • 베트남어
일본, 긴급사태 발령에도 코로나 확산…전문가 "연장해야"
긴급사태 발령 1주일 지났지만, 신규 확진자 오히려 늘어
대형 연휴 끝나고 연장 여부 판단할 듯…올림픽 영향 주목



(도쿄=연합뉴스) 김호준 특파원 = 일본에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확산을 막기 위한 '긴급사태 '가 발령됐지만, 감염 확산 추세가 계속되고 있다.
감염증 전문가들 사이에선 긴급사태 연장이 불가피하다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앞서 일본 정부는 코로나19 확산에 대응해 지난 25일부터 외출 자제와 음식점 등 상업시설 영업 제한, 출근자 70% 감축 등을 골자로 한 3차 긴급사태를 발령했다.
발령 대상은 도쿄도와 오사카부(大阪府), 교토부(京都府), 효고(兵庫)현 등 4개 광역지방자치단체이며, 기한은 이달 11일까지다.
일본 정부는 대형 연휴인 '골든위크'(4.39~5.5)를 앞두고 유동 인구를 억제하기 위해 긴급사태를 발령했지만, 일본 내 코로나19 확진자는 오히려 늘었다.
2일 아사히신문에 따르면 최근 1주일 평균 하루 확진자는 지난달 30일 기준 도쿄도 773명, 오사카부 1천111명, 교토부 137명, 효고현 483명이다.
직전 1주일과 비교하면 도쿄도와 교토부는 10% 정도 늘었고, 오사카부와 효고현은 비슷한 수준이다.

전날 일본의 코로나19 신규 확진자는 5천986명(NHK 집계 기준)으로 지난 3월 22일 2차 긴급사태가 전면 해제된 이후 가장 많았다.
지역별로 봐도 오사카부 1천262명, 도쿄도 1천50명, 효고현 539명, 교토부 158명으로 긴급사태 발령 이전보다 신규 확진자 수가 많았다.
긴급사태를 발령하고 1주일 정도 지난 시점이어서 아직 발령 효과를 판단하기는 이르지만, 발령 기한인 이달 11일에 예정대로 해제하기는 어려울 것이라는 전망이 우세하다.
아사히신문은 전문가들 사이에 "연장은 피할 수 없다"는 견해가 강해지고 있다고 전했다.
하마다 아쓰오(濱田篤郞) 도쿄의대 특임교수는 "연휴 중 집에 머무는 사람이 늘어 어느 정도는 감염자가 줄지도 모르지만, 11일 기한까지 (코로나19) 유행이 진정될 것으로 생각하지 않는다"고 밝혔다.
마이니치신문도 전문가들 사이에 연장이 불가피하다는 관측이 나오고 있다고 전했다.
마쓰모토 데쓰야(松本哲哉) 국제의료복지대 교수는 "1주일만 봐도 (긴급사태) 선언에 의해 감염 억제 성과를 얻을 수 없는 것은 분명하다"며 "시한대로 해제하면 해제 메시지만 크게 전달돼 감염자 수가 폭발적으로 늘어날 것으로 보이기 때문에 선언은 연장할 수밖에 없다"고 말했다.
산케이신문도 정부는 골든위크가 끝나고 긴급사태를 시한대로 해제할지 여부를 판단할 것으로 보이는데, 연장이 불가피하다는 견해가 강해지고 있다고 전했다.

그러나 일본 정부는 긴급사태 연장에 소극적인 자세를 보일 가능성도 있다.
긴급사태 연장은 경제에 타격을 주는 데다 특히나 올해 7월 23일 개막하는 도쿄올림픽 개최에도 영향을 미칠 수 있기 때문이다.
스가 요시히데(菅義偉) 총리는 지난달 30일 총리관저 기자단이 긴급사태 연장 가능성을 묻자 "지금은 막 단기집중으로 (대책을) 부탁하고 있다. 효과가 나오도록 대처하겠다"며 즉답을 피했다.
일본 정부가 3차 긴급사태 발령 기간을 4월 25일부터 5월 11일까지로 1, 2차 긴급사태 때와 비교해 짧게 잡은 것은 오는 17일 토마스 바흐 국제올림픽위원회(IOC)의 일본 방문을 염두에 둔 것이라는 해석도 있다.
그러나 긴급사태 해제로 일본에서 코로나19가 급속히 확산하면 국내외에서 올림픽 개최를 취소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더 커질 수도 있어 일본 정부의 고민이 깊어질 것으로 보인다.
hojun@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실시간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