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스피

2,612.43

  • 29.16
  • 1.13%
코스닥

740.48

  • 13.07
  • 1.80%
1/3

"데이터 모으고 AI 활용해 신소재 개발 기간 단축한다"

페이스북 노출 0

핀(구독)!


글자 크기 설정

번역-

G언어 선택

  • 한국어
  • 영어
  • 일본어
  • 중국어(간체)
  • 중국어(번체)
  • 베트남어
"데이터 모으고 AI 활용해 신소재 개발 기간 단축한다"
정부 '데이터 기반 소재연구 혁신허브 구축·활용방안' 확정
내년까지 AI학습 데이터 420만건 확보·2027년까지 598억원 투자

(서울=연합뉴스) 정윤주 기자 = 정부가 소재 연구에 데이터와 인공지능(AI)을 접목해 신소재 개발 기간과 비용을 줄이는 방안을 추진한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14일 홍남기 경제부총리 주재로 열린 '제5차 소부장 경쟁력 강화위원회'에서 '데이터 기반 소재연구 혁신허브 구축·활용방안'을 확정했다고 밝혔다.
정부는 디지털 뉴딜 추가경정예산(추경)을 통해 확보한 80여억원을 시작으로 2027년까지 598억원을 투자해 연구데이터 수집·공유 플랫폼 '데이터기반 소재 연구 혁신허브'를 우선 구축할 방침이다.

내년까지 데이터 구조와 규격 등을 입력하는 '데이터 입력 표준 템플릿'을 확립하고 AI가 학습할 수 있는 메타데이터(데이터에 관한 속성정보) 420만건을 확보한다.
과기정통부 소재 연구개발(R&D) 과제부터 타 부처 과제와 기초연구 등 R&D로 생성되는 데이터를 모두 모은다.
대용량 데이터를 안정적으로 관리하기 위해 내년까지 슈퍼컴퓨터 5호기를 일부 사용하고 2026년까지 소재 연구데이터 전용 초고성능 컴퓨팅 전용 시스템을 구축한다.
2022년부터는 수집 데이터와 AI를 소재 연구에 활용할 수 있도록 탐색·설계, 공정개발, 측정·분석 등 3대 서비스를 제공한다.
연구자와 기업은 '혁신허브' 내에서 AI를 활용해 소재 조성을 설계하거나 장비 정보나, 가이드라인 등을 공유할 수 있다.

소재연구 혁신허브와 3대 서비스를 소재 R&D 전주기에 활용해 신소재 개발시간과 비용을 절반으로 줄이는 선도사업도 추진한다.
대형 신규 연구개발(R&D) 중장기 과제와 단기 시범과제를 병행해 조기에 성공모델을 창출할 계획이다.
최기영 과기정통부 장관은 "연구데이터는 소재연구 파이프라인에 혁신을 가져올 기폭제"라며 "데이터 활용을 통해 발광다이오드(LED), 탄소섬유를 잇는 신소재가 국내에서 확보되기를 기대한다"고 말했다.
jungle@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 염색되는 샴푸, 대나무수 화장품 뜬다

실시간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