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스피

2,455.91

  • 48.76
  • 1.95%
코스닥

678.19

  • 16.20
  • 2.33%
1/3

미 '추가조치 삼가라' 북한에 경고…트럼프는 북 언급 안 해

페이스북 노출 0

핀(구독)!


글자 크기 설정

번역-

G언어 선택

  • 한국어
  • 영어
  • 일본어
  • 중국어(간체)
  • 중국어(번체)
  • 베트남어
미 '추가조치 삼가라' 북한에 경고…트럼프는 북 언급 안 해
'한국과 긴밀조율' 원론 반응 이어 "역효과 추가조치 삼가라" 경고…수위는 조절
트럼프, 대미무력시위로 이어져 재선가도 타격 가능성 가장 우려…상황전개 촉각


(워싱턴=연합뉴스) 백나리 특파원 = 미국이 남북공동연락사무소 건물 폭파를 감행한 북한에 대해 역효과를 낳는 추가적 행위를 하지 말라고 경고했다.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은 지금까지는 별다른 언급을 하지 않았다. 미국으로서는 남북관계 파국을 무릅쓴 북한 행보의 향방에 주목하면서 북미관계에 미칠 영향에 촉각을 곤두세우는 분위기다.
미 국무부 대변인은 16일(현지시간) 북한의 남북공동연락사무소 폭파에 대한 연합뉴스의 질의에 "미국은 남북관계에 대한 한국의 노력을 완전히 지지하며 북한에 역효과를 낳는 추가 행위를 삼갈 것을 촉구한다"고 답했다.
이 답변은 미 고위당국자가 "우리는 북한의 개성 연락사무소 파괴를 인지하고 있으며 동맹인 한국과 긴밀한 조율을 유지하고 있다"고 원론적인 입장을 내고 3시간여 뒤에 나왔다.
연락사무소 폭파로 직접적 행동에 나선 북한이 추가 조치로 긴장 상황을 더욱 끌어올릴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는 상황에서 미 정부가 공식적으로 분명한 경고 메시지를 발신한 것이다.
그러나 '역효과를 낳는 추가적 행위를 삼가라'는 식으로 경고 수위는 일정 부분 조절했다.
미 국무부는 최근 북한이 담화 형식으로 대남 압박 수위를 한껏 끌어올릴 때 '북한이 도발을 피하기를 촉구한다'며 좀 더 확실한 경고 메시지를 낸 바 있다.
미 정부 차원의 공식 논평과 별개로 트럼프 대통령의 반응 역시 관심이 집중되고 있지만 아직 공개적으로 나온 언급은 없다.
북한의 연락사무소 폭파는 미국 동부시간으로 새벽 시간대에 이뤄졌는데 트럼프 대통령이 아침에 일어나 가장 먼저 올린 트윗은 미국의 5월 소매판매에 대한 자랑이었다.
그는 "와우! 5월 소매판매가 역대 최고의 증가세를 보였다. 전망치보다 훨씬 큰 증가"라고 트윗을 올린 뒤 오전 중 다른 트윗은 하지 않았다. 이날 낮 열린 경찰개혁 행정명령 서명 관련 행사에서도 기자들과의 질의응답을 하지 않았다.
트럼프 대통령 역시 일단은 미국 내 여론에 직접적 영향을 주는 사안은 아니라는 판단하에 공개적 메시지를 내지는 않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북한의 연락사무소 폭파가 남북관계 파국에 국한되지 않고 북미관계로 여파가 확대될 수 있는 사안이라는 점에서 트럼프 행정부도 상황의 전개에 비상한 관심을 기울이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연락사무소 폭파가 기본적으로는 대남 메시지지만 저변에 북미관계 진전이 없다는 북한의 강한 불만이 자리하고 있다는 게 대체적 분석이다. 북한이 연락사무소 폭파를 통해 미국에 대한 간접적 압박에 나선 것으로도 볼 수 있는 것이다.
현재 11월 대선 승리가 최우선 과제이자 유일한 목표인 트럼프 대통령으로서는 북한이 연락사무소 폭파에 이어 대미압박 무력시위에 나설 가능성을 가장 우려할 수밖에 없다. 연락사무소 폭파로 존재감을 한껏 드러낸 북한이 군사적 무력시위로 대미압박에 나서 재선가도에 변수로 작용할 수 있다는 우려다.
미 정부가 처음에는 원론적 수준의 반응을 내놓는 데 그쳤다가 '추가적 행위'를 겨냥한 별도의 논평을 내놓은 데는 이런 우려가 작용한 것으로 분석된다.
북한이 대미압박 무력시위로 나아가는 움직임을 보일 경우 트럼프 대통령은 공개적으로 경고메시지를 발신할 가능성이 크다. 북한이 '성탄 선물'로 대미압박에 나설지를 두고 시끄러웠던 작년 연말 트럼프 대통령은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이 미 대선 개입을 원치 않을 것이라며 거듭 경고했었다.
nari@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 염색되는 샴푸, 대나무수 화장품 뜬다

실시간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