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스피

2,455.91

  • 48.76
  • 1.95%
코스닥

678.19

  • 16.20
  • 2.33%
1/3

미중 분쟁에 일본 리스크까지…반도체업계 '컨틴전시 플랜' 가동

페이스북 노출 0

핀(구독)!


글자 크기 설정

번역-

G언어 선택

  • 한국어
  • 영어
  • 일본어
  • 중국어(간체)
  • 중국어(번체)
  • 베트남어
미중 분쟁에 일본 리스크까지…반도체업계 '컨틴전시 플랜' 가동
한국 법원 일본 전범기업 자산 현금화 조치에… 일본 연일 "추가 보복"
일본, 수출 규제 품목 늘리고 장비 등으로 확대시 반도체 직격탄

(서울=연합뉴스) 서미숙 기자 = 미·중 무역분쟁에 이어 '일본 리스크'까지 다시 가세하며 반도체 업계에 위기감이 커지고 있다.
우리 정부가 최근 수출 규제 문제로 일본을 세계무역기구(WTO)에 제소하기로 한 데 이어, 일본 전범기업 자산에 대한 현금화 조치가 본격화되면서 양국간 갈등이 골이 깊어지고 있어서다.
일본 정부는 지난 1일 대구지방법원 포항지원이 포스코[005490]와 일본제철(옛 신일철주금)의 합작회사인 피앤알(PNR)에 대한 압류명령 결정 등의 공시송달을 결정한 사실이 알려지자, 연일 "추가 보복 조치가 뒤따를 것"이라며 경고의 수위를 높이고 있다.
지난해 이미 일본의 수출 규제로 타격을 입었던 국내 반도체 업계는 일본의 규제가 더욱 확대될 경우 반도체 생산이 중단되는 등 사업 차질이 현실화될 것으로 보고 우려하고 있다.



◇ 반도체 업계 "일본 보복 조치 확대되나" 초긴장…'비상계획' 가동
7일 재계와 IT업계에 따르면 삼성전자[005930]와 SK하이닉스[000660] 등 주요 반도체, 디스플레이 업체들은 최근 한일 관계가 더 악화할 조짐을 보이자 초비상이 걸렸다.
일본의 경고가 경제 보복으로 이어질 것으로 우려해 회사마다 파급 효과를 분석하고 대응 방안을 마련하는 등 '컨틴전시 플랜(비상계획)' 가동에 들어간 것으로 확인됐다.
삼성전자 등 국내 기업들은 일본의 추가 수출 규제 강화 조치에 따른 시나리오별 대책을 준비하는 한편, 일본은 물론 전세계 해외법인 등을 통해 협력사 상황 등 관련 정보를 수집하고 있다.
현재 일본 정부의 직접적인 수출 규제 대상은 불화수소, 포토레지스트, 플루오린 폴리이미드 등 3개 품목이다.
일본의 수출 규제 이후 국내 기업들은 일본 소재에 대한 의존도를 낮추기 위해 수입선을 다변화하거나 국산화 노력을 진행하며 맞대응해왔다.
기체 불화수소는 미국 화학사 등 해외 업체로, 액체 불화수소는 국내 기업 위주로 조달처를 다변화했다.
일본 기업 JSR과 벨기에 연구센터 IMEC가 합작해 설립한 포토레지스트 업체로부터도 제품을 들여오고 있다.
그러나 높은 기술력을 요구하는 초고순도 불화수소는 여전히 일본 의존도가 높고, EUV용 포토레지스트도 아직 일본 수입이 대부분이라는 게 반도체 업계의 설명이다.
이런 가운데 일본이 만약 규제 대상을 다른 반도체 등의 핵심 소재로 확대할 경우 제품 생산이 직격탄을 맞을 수밖에 없다는 우려가 나오고 있다.
이들 3대 품목 외에 반도체 노광 공정에 사용되는 포토마스크나 실리콘웨이퍼 등 핵심 소재와 부품들은 국산 등 대체재가 제한적이고 여전히 일본의 기술력이 높은 상황이다.
반도체 업계의 한 관계자는 "당장은 반도체 주요 소재의 국산화와 대체 공급망 확보가 현실적으로 어렵고, 제품 수율도 아직 일본 수준에 못 미치는 게 문제"라며 "일본이 반도체의 다른 핵심 반도체 품목으로 규제를 확대할 경우 반도체 업계가 직격탄을 맞을 수 있다"고 말했다.



◇ "미·중 분쟁 등 가뜩이나 힘든데"…규제 확대시 직격탄 우려
만약 일본의 규제가 장비 부품, 설비 관련 규제로 확대되면 상황이 더 나빠진다. 이 경우 제품 생산이 중단되면서 국내 기업들의 야심찬 투자계획에도 차질이 발생할 수 있다는 것이다.
지난해 일본의 수출 규제 강화 이후 이른바 '소부장'(소재·부품·장비) 산업의 경쟁력 강화 방안이 추진되고 있지만 아직은 일본의 영향권에서 완전히 벗어나긴 어렵다는 입장이다.
최근 일본 소부장 기업들이 한국 현지화를 확대하는 추세지만, 일본 정부가 이런 움직임에 제동을 걸 경우 국내 반도체 산업의 타격으로 이어질 수 있다.
반도체 업계의 한 관계자는 "일본측 움직임에 따라 최근 삼성전자가 발표한 평택캠퍼스의 극자외선(EUV) 파운드리 생산라인과 낸드 플래시메모리 생산라인 투자나 SK하이닉스가 진행하고 있는 중국 우시 공장 투자가 중단되거나 차질을 빚을 수 있다"고 말했다.


미·중 무역분쟁 사이에 '샌드위치' 신세가 된 반도체 업계는 일본 규제까지 확대될 경우 불확실성이 극대화될 것으로 우려하고 있다.
중국 반도체 기업들이 128단 낸드플래시, 10나노급 D램 등 최첨단 메모리 제품의 양산을 앞두고 삼성전자나 SK하이닉스 등 국내 기업을 위협하고 있다.
업계의 한 관계자는 "예측 불허의 글로벌 정세 속에 국내외 정치적 이슈까지 겹치며 반도체 업계가 '퍼펙트 스톰'에 갇힐 수 있다는 우려가 커지고 있다"며 "그나마 우리 경제의 버팀목이 돼온 반도체마저 흔들리는 위기 상황이 재현되는 분위기"라고 우려했다.
다만 일본도 수출 규제 강화 이후 자국 기업들의 실적 악화로 이어지고 있어 추가 규제 확대가 제한적일 것이라는 관측도 적지 않다.
초고순도 불화수소를 생산하는 일본의 스텔라케미화의 경우 지난해 순이익이 전년도보다 18% 감소했고, 주력인 초고순도 불화수소의 작년도 출하량은 전년도보다 약 30% 감소한 것으로 전해졌다.
sms@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 염색되는 샴푸, 대나무수 화장품 뜬다

실시간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