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종코로나 충격, 최소한 사스 수준…향후 한 달이 관건"
증권업계 "중국 성장률 5%대로 하락 가능성"
(서울=연합뉴스) 박진형 기자 = 국내외 금융시장을 강타한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우한 폐렴) 사태 여파의 강도와 지속 기간에 증시 안팎의 시선이 집중되고 있다.
증권업계 전문가들은 28일 대체로 이번 사태가 지난 2003년 중국·홍콩 등지를 휩쓴 사스(SARS·중증급성호흡기증후군) 사태와 최소 동급 또는 그 이상이라고 분석하고 경제와 금융시장에 단기간 충격이 불가피하다고 우려했다.
앞서 중국 국가위생건강위원회(위건위)는 전날 오후 8시(현지시간) 현재까지 전국 30개 성에서 2천840명의 신종 코로나 확진자가 나왔고 사망자는 81명이라고 밝혔다.
박상현 하이투자증권 연구원은 "사스의 경우 확진자가 1천명을 돌파하는 데 4개월이 걸린 반면 신종 코로나는 작년 12월 30일 첫 확진자가 발생한 이후 1천명을 넘기는 데 25일 정도밖에 걸리지 않았다"며 "확산 속도가 사스 당시에 비해 빠르다"고 지적했다.
이에 따라 신종 코로나가 국내외 경제와 금융시장에 미칠 악영향도 최소 사스 사태 이상이라는 시각이 많다.
박상현 연구원은 "가장 크게 우려되는 것은 중국 경제가 받을 경제적 충격"이라며 "1분기에 중국 내수가 크게 위축될 가능성이 커졌고 중국 경제에 의존도가 높은 한국 경제 역시 적지 않은 부담을 안을 수밖에 없다"고 강조했다.
그는 "현재 세계 경제의 기초여건(펀더멘털)이 취약해서 돌발변수에 큰 충격을 받을 수 있다"며 "무엇보다 중국 경제의 경우 미중 무역갈등 장기화로 이미 내상을 입은 상황에서 신종 코로나가 장기화할 경우 경제 펀더멘털에 치명타가 될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고 우려했다.
최설화 한국투자증권 연구원은 "신종 코로나의 전파력이 사스보다 빠르고 춘제(春節·중국 설) 연휴도 연장돼 (중국) 실물경기에 미칠 영향이 사스 때를 넘어설 가능성이 크다"고 진단했다.
그는 "사스 때는 소비 전반의 부진으로 2003년 2분기 중국 경제 성장률이 9.1%로 전분기(11.1%)보다 떨어졌다가 사태가 진정된 3분기부터 다시 회복했다"며 올해 1분기 중국 성장률(전년동기 대비)이 5% 후반대로 떨어질 것으로 예상했다.
이승훈 메리츠종금증권[008560] 연구원도 "올해 1분기 중국 성장률이 소비 충격·조업 중단 등 신종 코로나의 충격과 6.4%로 높았던 작년 1분기 성장률의 기저효과가 맞물리면서 일시적으로 6%에 못 미칠 가능성이 커졌다"고 전망했다.
관건은 이번 사태로 인한 증시의 충격이 언제쯤 진정될지다.
이은택 KB증권 연구원은 "과거 사스나 신종플루 사태 등을 보면 감염자·사망자 수가 늘어난다고 주가가 계속 하락한 것은 아니었다"며 "사스의 경우 2003년 3월 26일 감염자 수가 처음 발표된 이후 5월 초까지 급증했는데도 주가는 대부분 3월 말~4월 중에 바닥을 친 바 있다"고 지적했다.
김일구 한화투자증권[003530] 수석이코노미스트도 "사스 사태 당시 세계 주가지수는 세계보건기구(WHO)가 첫 번째 글로벌 경보를 발령한 3월 중순에 약 10% 하락했고 이후 확산 속도가 빨라진 3월 말에 추가로 5% 정도 하락했을 뿐"이라고 분석했다.
그는 "당시 다중이용시설 폐쇄 및 여행 제한으로 세계 경제에 단기적 영향은 있지만, 장기적인 악영향은 없을 것이라고 세계 투자자들이 판단했던 것"이라며 "신종 코로나의 금융시장 영향도 사스 때와 비슷해 전염 확산이 진정되면 증시가 다시 상승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박상현 연구원은 "관건은 공포감이 얼마나 빨리 진정될 지이며, 이는 중국 내 확진자 수가 언제 정점을 찍을 것인지에 달려 있다"며 "향후 1~2주간 신종 코로나 확산 또는 진정 여부를 지켜볼 필요가 있다"고 조언했다.
이승훈 연구원은 "소비·운송·관광 등 활동이 이번 사태 이전 수준으로 회복하려면 신규 확진자 수·사망자 수가 정점을 통과한다는 신호가 필요하다"며 "이런 조건이 충족되기 전까지는 경제주체들의 심리 악화와 더불어 금융시장 변동성이 확대될 가능성에 유의해야 한다"고 밝혔다.
이은택 연구원은 "사스 발병 당시에는 증시가 과매도 국면이었지만, 지금은 과매수 국면"이라며 "당분간은 조급하기보다는 과매수 해소를 기다릴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또 "업종별로는 인적·물적 교류가 없는 소프트웨어·온라인쇼핑·게임·미디어·바이오·통신 등은 유리하지만 인적·물적 교류를 필요로 하는 여행·레저나 반도체·소재·산업재 등 중간재는 불리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jhpark@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