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스피

2,442.51

  • 24.67
  • 1.02%
코스닥

675.92

  • 14.33
  • 2.17%
1/4

"韓, 비금속·기계·車업종서 日대비 부가가치 창출능력 밀려"

페이스북 노출 0

핀(구독)!


글자 크기 설정

번역-

G언어 선택

  • 한국어
  • 영어
  • 일본어
  • 중국어(간체)
  • 중국어(번체)
  • 베트남어
"韓, 비금속·기계·車업종서 日대비 부가가치 창출능력 밀려"
통계청 세미나…對일본 부가가치 무역특화지수 비교

(세종=연합뉴스) 김경윤 기자 = 한국과 일본의 수출 경쟁력을 비교했을 때 자동차를 비롯한 운송 제품과 비금속·기계류 품목에서 기술력을 바탕으로 한 부가가치 창출 능력이 밀리는 것으로 나타났다.


홍현정 통계청 사무관은 12일 서울 대한상공회의소에서 열린 '기업통계 평가, 분석 및 과제 세미나'에서 한국의 대(對)일본 부가가치 무역특화지수(TSI)를 분석하며 이같이 밝혔다.
부가가치 TSI는 기술력 등을 바탕으로 한 부가가치 창출 경쟁력을 나타내는 지표다. 1에 가까울수록 부가가치를 만들어내는 경쟁력이 강하며 마이너스(-) 1에 가까울수록 경쟁력이 약해 수출을 하지 못한다는 의미다.


2015년 기준 일본과의 교역에서 한국의 총 부가가치 TSI는 -0.1로, 전반적으로 경쟁력이 약한 것으로 나타났다.
품목별로는 텅스텐, 베릴륨 등 비금속과 이를 활용한 합금·탄화물 등이 포함한 기타 비금속 제품이 부가가치 TSI가 -0.5로 가장 낮았다.
선박 등을 아우르는 기타 운송장비는 부가가치 TSI가 -0.5였고, 자동차 업종은 -0.3이었다.
미국이나 중국과의 교역 과정에서는 자동차가 부가가치 TSI 최상위 업종에 꼽히는 것과 상반된다. 전 세계적으로도 자동차의 부가가치 TSI는 0.7을 기록했다.
기계류 역시 대일 교역에서 부가가치 TSI가 -0.4로, 일본과 비교해 부가가치 창출 능력이 부족한 분야로 꼽혔다.
반면 경쟁력이 있는 품목으로는 섬유·의류(0.5)와 컴퓨터·전자·광학(0.4)이 상위권에 들었다.
코크스·석유정제(0.3)와 가공 금속제품(0.3), 전기장비(0.1), 음·식료·담배(0.1)가 그 뒤를 이었다.
홍 사무관은 "부가가치 TSI는 중간재를 제외하고 기술력 등을 감안한 부가가치 측면에서의 수출 경쟁력을 보여준다"며 "한국은 수출의존도가 높은 만큼 이 같은 무역구조를 파악하고 세부 수출 경쟁력 강화방안이 필요하다"고 설명했다.

한국의 기업활동이 활발하게 이뤄지고 있지만, 여타 선진국과 달리 자본 집약적인 제조업 기업의 비율이 높다는 지적도 나왔다.
신지성 통계청 사무관이 발표한 '한국-OECD 주요국의 신생·소멸 및 고성장 기업 비교분석'에 따르면 한국의 연평균 신생 기업 증가율과 소멸기업 증가율 차이가 3.0%포인트로, 주요 OECD 국가 대비 기업활동이 활발한 것으로 나타났다.
기업 설립 문턱이 가장 낮은 국가로 꼽히는 영국은 신생-소멸기업 증감률 차이가 5.1%포인트, 이탈리아는 0.4%포인트였다.
기업의 생존율을 따져보면 한국 2인 이상 기업의 1년 생존율은 79.5%로, OECD 평균인 82.6%에 못 미쳤다. 5년 생존율도 40.8%로, OECD 평균(43.9%)을 밑돌았다.
한국은 신생 기업 가운데 자본 집약적인 제조업 비중이 18.2%를 차지해 독일(5.8%)·스페인(5.6%)·영국(4.3%)·프랑스(4.4%)·폴란드(10.0%)·이탈리아(9.8%) 등 비교 대상 국가보다 현저히 높았다.
소멸기업 가운데서도 19.8%가 제조업으로, 단연 두드러졌다.
또 최근 3년간 상용 근로자가 연평균 10% 이상 증가한 고성장 기업 수는 한국이 독일, 영국에 이어 3번째로 많았고, 고성장 기업 중 사업자등록 5년이 안 된 이른바 '가젤기업'의 수는 7개국 가운데 한국이 가장 많았다.
heeva@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 염색되는 샴푸, 대나무수 화장품 뜬다

실시간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