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스피

2,722.67

  • 33.17
  • 1.23%
코스닥

866.18

  • 15.43
  • 1.81%
1/3

차세대 반도체 등 5대 신산업 구인난 "4천100명 인력 부족"

페이스북 노출 0

핀(구독)!


뉴스 듣기-

지금 보시는 뉴스를 읽어드립니다.

이동 통신망을 이용하여 음성을 재생하면 별도의 데이터 통화료가 부과될 수 있습니다.

차세대 반도체 등 5대 신산업 구인난 "4천100명 인력 부족"

주요 기사

글자 크기 설정

번역-

G언어 선택

  • 한국어
  • 영어
  • 일본어
  • 중국어(간체)
  • 중국어(번체)
  • 베트남어
차세대 반도체 등 5대 신산업 구인난 "4천100명 인력 부족"

(서울=연합뉴스) 김성진 기자 = 차세대 반도체, 디스플레이, 첨단 신소재 등 5대 유망 신산업에서 인력 부족률이 평균 3.7%에 달해 관련 인력 양성이 시급한 것으로 조사됐다.
산업통상자원부는 2일 유망 신산업인 차세대 반도체, 차세대 디스플레이, 사물인터넷(IoT) 가전, 증강현실(AR)·가상현실(VR), 첨단신소재 등의 산업기술인력 실태조사를 한 결과 이같이 나타났다고 밝혔다.
조사 결과 2017년 현재 5개 신산업 산업기술인력은 총 10만9천명이며, 부족인력은 4천183명(평균 부족률 3.7%)인 것으로 나타났다.
조사 시점에서 10년 후인 2027년에는 약 5만6천명이 늘어난, 총 16만5천명이 필요할 것으로 전망됐다.

이 같은 조사는 2016년부터 산업부와 한국산업기술진흥원·산업연구원이 함께 실시하고 있으며, 미래형 자동차(2016년), 지능형 로봇(2017년)에 이어 세 번째이다.
분야별로 차세대 반도체 사업의 경우 참여기업은 578개사로 추정되며, 공정·장비 분야 및 10~19인 이하의 소규모 기업이 높은 비중(38.2%)을 차지했다.
차세대 반도체는 기존 반도체를 훨씬 뛰어넘어 인공지능과 같은 새로운 기능을 포함하거나 소모전력을 크게 개선한 반도체를 말한다.
차세대 반도체 사업의 현재 인원은 2만7천297명에 부족인원은 1천146명(부족률 3.8%)이며 특히 메모리반도체에서 부족률이 5.7%로 가장 높았다.
차세대 디스플레이 사업 참여기업은 420개사로 추정되며, 소재·부품 분야 및 20~99인 이하의 중소기업이 높은 비중(36%)을 차지했다.
현재 인원은 1만3천759명으로 부족 인원은 834명이며, 부족률은 5.5%로 나타났다.
차세대 디스플레이는 응용기기 정보를 제약 없이 제공할 수 있도록 크기·해상도·소비전력 등 성능이 개선되거나 새로운 형태인 디스플레이를 가리킨다.

이밖에 IoT가전(현재 인원 3만634명) 부족인원은 880명(부족률 2.8%)이고 AR·VR(4천782명) 부족인원은 286명(5.4%)이며 첨단신소재(3만2천101명) 부족인원은 1천37명(부족률 3.1%)인 것으로 파악됐다.
산업부는 미래 유망분야 인력수요 대응을 위해 석·박사급 인력양성을 지원중이며 반도체·디스플레이·전자 등 인적자원개발협의체(SC)의 교육훈련 프로그램 개발에 이번 전망 결과를 반영할 방침이다.
sungjin@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실시간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