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스피

2,792.05

  • 17.66
  • 0.64%
코스닥

842.12

  • 0.13
  • 0.02%
1/2

"국민 10명 중 7명, 혼인·혈연아녀도 함께 먹고살면 가족"

페이스북 노출 0

핀(구독)!


뉴스 듣기-

지금 보시는 뉴스를 읽어드립니다.

이동 통신망을 이용하여 음성을 재생하면 별도의 데이터 통화료가 부과될 수 있습니다.

"국민 10명 중 7명, 혼인·혈연아녀도 함께 먹고살면 가족"

주요 기사

글자 크기 설정

번역-

G언어 선택

  • 한국어
  • 영어
  • 일본어
  • 중국어(간체)
  • 중국어(번체)
  • 베트남어
"국민 10명 중 7명, 혼인·혈연아녀도 함께 먹고살면 가족"
여가부·여성정책연구원 여론조사


(서울=연합뉴스) 양정우 기자 = 국민 10명 중 7명은 혼인이나 혈연관계가 아니더라도 생계와 주거를 공유한다면 가족으로 볼 수 있다고 생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26일 여성가족부와 한국여성정책연구원이 16∼20일 ㈜한국갤럽조사연구소에 의뢰해 실시한 '가족 다양성에 대한 국민 여론조사' 결과에 따르면 이같이 생각하는 비율은 전체 응답자 66.3%였다.
함께 살지 않아도 정서적인 유대를 가지고 친밀한 관계를 맺고 있다면 가족이 될 수 있다는 의견에는 동의가 48.5%, 비동의 49.6%로 비슷했다.
외국인과 결혼에는 응답자 89.2%가 수용 가능하다는 입장을 보였다. 이혼이나 재혼에는 86.7%가, 비혼 독신은 79.3%가, 비혼 동거는 67.0%가 수용 입장을 보였다.
반면 결혼하지 않고 자녀를 가지는 것에는 응답자 50.6%, 미성년이 자녀를 낳아 기르는 것에는 29.5%만이 수용 가능하다는 입장을 보였다.
본인이나 자녀가 결혼하려는 상대방에 따른 수용도를 보면 입양된 자녀 78.3%, 한부모 가족 자녀 78.1%, 다문화 가족 자녀 76.8%, 재혼 가족 자녀 75.6%로 수용 정도가 높은 편이었다.
이에 반해 미혼부모 가족의 자녀는 56.6%, 비혼동거 가족 자녀는 45.2%만 받아들일 수 있다고 답해 비교적 낮게 나타났다.
다양한 가족 형태에 따른 지원 정책이 필요하다는 응답은 전반적으로 높았다.
한부모 가족에 대한 지원이 필요하다는 의견에는 응답자 91.4%가 동의했다. 미혼부모가족은 85.1%, 1인 가구 70.0%, 비혼동거에는 63.4%가 지원 필요 입장을 보였다.
법률혼 외 혼인에 대한 차별이 사라져야 한다는 입장도 63.4%였다.
이번 여론조사는 전국 17개 시·도에 거주하는 만 19세 이상 79세 이하 성인남녀 1천9명을 대상으로 이뤄졌다. 표본오차는 95%, 신뢰수준은 ±3.1%포인트다.
eddie@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실시간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