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방산업계, 미·유럽 공세 맞서 업계 전면 재편 추진
미쓰비시 등 유력 10개사 전투기 개발 특화 법인 공동설립키로
일본 정부도 적극 지원, 중기방에 '재편·통합 필요' 명기
(서울=연합뉴스) 이해영 기자 = 일찌기 '영식(零式)'전투기를 개발했던 미쓰비시(三菱)중공업과 가와사키(川崎)중공업을 비롯한 일본 방산업체들이 방산부문 경영에 심각한 어려움을 겪고 있다.
고비용 체질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있는 가운데 미국과 유럽 군수업계가 일본 시장 공략을 강화하고 있어서다.
위기감을 느낀 일본 업체들은 외국 군수업계의 공세에 맞서기 위해 업계의 전면 재편을 추진하고 있다. 전투기 등의 주요 무기를 '프라임 기업'으로 불리는 해당 분야 대표기업이 단독 수주한 후 각사에 나눠 하청을 주던 방식에서 벗어나 주요 업체들이 참여하는 전투기 개발에 특화한 새 회사를 설립해 공동수주하는 방식의 재편을 염두에 두고 있다. 일본 정부도 재편을 적극 지원하고 있다.
26일 아사히(朝日)신문에 따르면 작년 11월 일본의 전투기 개발을 담당하는 11개 유력 방산업체 담당자들이 도쿄(東京)에 있는 영국대사관에 모였다. 유럽 유수의 4개 군수업체 간부도 참석한 이날 모임의 명목은 일본과 영국 양국 정부가 주선한 '상견례'였지만 사실은 일본에 전투기를 판매하기 위한 유럽기업의 홍보행사였다.
영국 유수의 군수업체인 BAE시스템스의 앤디 레이섬 부사장은 영국의 차세대전투기 개발계획을 설명했다. 인공지능(AI)을 탑재한 무인기와 연계해 비행하는 최신예 전투기와 웨어러블 단말기를 장착한 조종사, 3차원 영상화면에 기체주변 상황이 공상과학(SF) 영화속 장면처럼 펼쳐지는 조종실 등을 보여주면서 "일본과 기술개발을 추진해 양국의 차세대 전투기에 적용하겠다"며 공동개발을 제안했다. 영국 측은 일본 정부가 2030년에 도입할 차세대 전투기개발 참여를 노리고 있다.
조 엔(10조 원) 단위의 사업이다보니 미국도 적극적이다.
세계 최대의 군수업체인 미국 록히드 마틴과 2위인 보잉사도 작년에 일본 방위성에 각각 차세대 전투기 개발계획을 제시했다. 미군의 주력전투기를 개량한 신형 전투기 개발 등이 주요 내용이다.
'바이 아메리칸' 정책을 표방하고 있는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은 아베 신조(安倍晋三) 총리와의 정상회담에서 직접 미국산 무기구입을 요구하기도 했다. 일본 정부 관계자는 "미국 정부는 무기수출을 안보전략의 하나로 내세우며 주일미군 등을 동원해 일본에 판매하려 하고 있다"고 말했다.
외국의 이런 판매공세는 뚜렷한 성과를 거두고 있다. 일본의 방위예산에서 무기구입비가 차지하는 비중은 2011년 7.4%에서 매년 높아져 올해는 27.6%에 달했다. 동맹국인 미국 정부로부터의 조달(FMS)은 이 기간 16배로 증가했다. 북한 미사일 위기 등을 배경으로 육상배치 요격미사일인 이지스 어쇼어와 최신예 스텔스전투기인 F35 등 고가 장비 구입결정이 잇따랐다.
일본 방산업계는 위기감을 감추지 못하고 있다. 세계대전 전에 이미 당시 영식 전투기를 개발했던 미쓰비시중공업 간부는 작년 6월에 열린 사업전략설명회에서 "FMS가 너무 늘어나면 협력업체들이 철수해 버릴 것"이라며 어려움을 호소했다.
일본 업계도 차세대전투기 개발 주도권을 잡기 위해 노력하고 있지만 유럽과 미국 업체가 이런 노력을 가로막고 있다. 이들 유력 외국업체의 방위부문 매출액은 업체당 2조 엔(약 20조 원)~4조 엔(약 4조 원)인데 비해 일본 업체는 기껏 수천억~수백억 엔 정도여서 개발에 할애할 수 있는 자금에서 큰 차이가 난다. 방위성이 과거 무기 국산화를 내세워 발주를 국내 각사에 골고루 나눠주는 '호송선단방식'을 추진해 왔기 때문이다.
무기 성능이 고도화하면서 일본 국내업체만으로는 감당하기 어려워진 것도 사실이다.
한 정부 관계자는 "미국이 거액을 들여 탄도미사일방어체계를 개발하고 있어 국내의 독자 개발은 무리"라고 말했다.
호송선단방식은 고비용 체질을 초래했다. 재무성 간부는 작년 4월 성내 심의회에서 "분산투자는 투자효율이 너무 떨어진다"면서 "누가 책임질거냐"고 따졌다.
일본은 과거 전투기는 미쓰비시, 수송기는 가와사키 식으로 생산설비와 기술을 분산해 왔다. 이렇다 보니 가와사키중공업에 생산하는 C2 수송기 가격은 미국 최신예 전투기인 F35의 2배나 된다.
F35를 미국에서 수입할 때도 조립을 미쓰비시에 맡기다 보니 완제품을 수입하는 것보다 대당 79억 엔(약 790억 원)이나 더 비싸졌다.
전투기 외에도 탄약은 다이킨공업과 고마쓰 등 국내 10개 기업에 분산발주하고 있다. 이 바람에 스미토모(住友)중기계공업이 생산하는 기관총 가격은 미제의 7배나 된다.
이런 곤경을 타개하기 위해 국내 유력 방산업체 10개사 간부가 지난달 22일 도쿄 시내에 모였다. 일본 정부가 도입할 차세대전투기 사업을 따내기 위한 개발계획을 논의하기 위해서다. 이 자리에서는 "새 회사 설립을 검토할 필요가 있다"는 의견이 잇따른 끝에 10개사가 차세대전투기 개발에 특화한 새 회사 공동설립을 추진하기로 의견을 모았다. 각사에 흩어져 있는 인력과 기술을 한군데로 모으는 방식으로 미국·유럽기업과의 수주경쟁에서 유리한 위치를 차지한다는 전략이다.
일본 정부도 업계의 노력을 적극 지원하고 있다. 작년 말 각의에서 결정된 중기방위력정비계획에는 국내 방위산업의 '재편과 통합' 필요성이 처음으로 명기됐다. 정부는 개편과 통합을 거듭해 거대 기업으로 성장한 미국과 유럽의 유력 군수업체를 염두에 두고 있다고 아사히 신문이 전했다.
lhy5018@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