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스피

2,682.52

  • 46.00
  • 1.74%
코스닥

844.72

  • 4.74
  • 0.56%
1/3

전주시 플라즈마 소각시설 추진 제동…시의회 "안전성 미검증"

페이스북 노출 0

핀(구독)!


뉴스 듣기-

지금 보시는 뉴스를 읽어드립니다.

이동 통신망을 이용하여 음성을 재생하면 별도의 데이터 통화료가 부과될 수 있습니다.

전주시 플라즈마 소각시설 추진 제동…시의회 "안전성 미검증"

주요 기사

글자 크기 설정

번역-

G언어 선택

  • 한국어
  • 영어
  • 일본어
  • 중국어(간체)
  • 중국어(번체)
  • 베트남어
전주시 플라즈마 소각시설 추진 제동…시의회 "안전성 미검증"

(전주=연합뉴스) 홍인철 기자 = 플라즈마를 활용해 만든 전기와 스팀으로 폐기물을 처리하는 소각장을 건설하려던 전주시의 계획에 제동이 걸렸다.



전주시의회 복지환경위원회는 25일 시가 제출한 '플라즈마 열분해 가스 에너지화 시범사업 합의각서(MOA) 동의안'을 부결했다.
이 플라즈마 방식이 폭발 등 안전성이 검증되지 않은 공법이라는 이유에서다.
전주시는 애초 100억원(민간자본)을 들여 올해부터 2020년까지 음식물 쓰레기와 재활용품을 처리하는 완산구 상림동 종합리사이클링타운 인근에 하루 20t을 처리하는 플라즈마 폐기물처리장을 민간투자 방식으로 시범 운영하려 했다.
현재의 종합리사이클링타운 소각장의 처리 용량이 부족하고 이 소각장의 운영 만료 시한(2026년)의 3년 이전인 2023년까지 연장 운영을 결정해야 하는데, 주민협의체가 연장을 반대하면 새로운 입지를 급하게 찾아야 하는 필요성을 고려한 결정이었다.
새 소각장 건설 기간이 5년 이상 소요되는 점을 고려하면 2021년 이전에 소각장 건설 및 운영 방향 확정이 필요해 플라즈마를 활용한 친환경 소각시설을 도입하려 했다는 설명이다.
전주시는 플라즈마 소각시설이 연기를 분리 배출하지 않아 기존 소각시설보다 대기오염물질은 30%, 비산·바닥재는 60%가량 감축할 수 있다고 부연했다.
이에 시의회는 "1천300도 안팎인 플라즈마 소각시설에 대한 국내 실증사례가 없어 안전성을 검증할 수 없는 만큼 시와 업체 간의 합의각서 동의안을 부결했다"고 말했다.
플라즈마 소각시설이 들어설 예정이었던 지역 주민도 이날 시청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사업의 명칭만 보면 마치 스팀과 전기를 생산하는 유익한 시설처럼 보이지만, 실제 사업은 폐기물 소각이어서 이 사업은 소각장을 점차 확대하려는 의도"라며 반발했다.
전주시는 "일본과 미국, 프랑스 등 일부 선진국에서는 플라즈마를 활용한 소각시설이 운영되고 있다"면서 "안전성을 재확인해 다시 추진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ichong@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실시간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