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스피

2,774.27

  • 9.54
  • 0.35%
코스닥

842.05

  • 0.53
  • 0.06%
1/3

부산항 안전관리 강화한다…해수부·항만공사 대책 마련 나서

페이스북 노출 0

핀(구독)!


뉴스 듣기-

지금 보시는 뉴스를 읽어드립니다.

이동 통신망을 이용하여 음성을 재생하면 별도의 데이터 통화료가 부과될 수 있습니다.

부산항 안전관리 강화한다…해수부·항만공사 대책 마련 나서

주요 기사

글자 크기 설정

번역-

G언어 선택

  • 한국어
  • 영어
  • 일본어
  • 중국어(간체)
  • 중국어(번체)
  • 베트남어
부산항 안전관리 강화한다…해수부·항만공사 대책 마련 나서



(부산=연합뉴스) 이영희 기자 = 올해 들어서만 4명이 숨지고 50명 이상이 다치는 등 사고가 속출한 부산항의 안전관리가 강화될 것으로 보인다.
부산해양수산청은 28일 오후 부산항만공사, 항운노조, 항만물류협회 관계자들이 참석한 가운데 '부산항 안전사고 저감을 위한 업무협의회'를 열었다.
지난 20일 북항 자성대부두에서 크레인 줄이 풀리면서 컨테이너가 추락해 크레인 아래에 있던 노동자 1명이 깔려 숨진 사고를 계기로 안전강화 대책을 논의하기 위해서다.
해수청 관계자는 "해양수산부에서 전국 항만을 대상으로 안전관리 대책을 마련 중"이라며 "이를 위해 우선 부산항의 실태와 문제를 파악하고 대책을 논의하는 자리를 마련했다"고 말했다.

이날 회의에서 항운노조는 북항 컨테이너 부두들의 장비 노후화에 따른 사고 위험성을 비롯해 부산항 전반의 안전관리가 부실하다는 점을 지적하고, 노사정 상설협의체를 구성해 지속적인 안전대책 마련을 주장했다.
외부 전문가가 참여하는 전면적인 실태조사와 안전점검도 요구했다.
부산해수청은 회의 결과를 토대로 부산항 전반의 안전 문제를 파악한 뒤 부산항만공사, 부두 운영사 등과 개선 방안을 모색할 방침이다.
특히 이 같은 논의가 일회성에 그치지 않도록 노사정협의체를 법정 기구로 구성해 운영하는 방안도 추진한다.
부산항만공사는 28일 조직을 개편하면서 '재난안전부'를 신설했다.
그동안 항만정책부가 다른 업무와 함께 맡던 안전 관련 업무를 떼어내 독립 부서에서 전담하도록 했다.
항만공사는 2014년에 항만안전기획팀이라는 부서를 신설했다가 얼마 지나지 않아 폐지한 적이 있다.
공사 관계자는 "사람이 우선인 항만을 만들기 위해선 안전이 우선해야 한다는 취지에서 안전관리 전담 부서를 만들었다"며 "앞으로 항만의 위험요인들을 찾아내 신속하게 개선하는 노력을 기울이겠다"고 말했다.
연간 20피트 컨테이너 2천만개 이상 처리하는 부산항은 지금까지 물동량 늘리기와 생산성 높이기에 급급해 노동자 안전은 뒷전이라는 지적을 받아왔다.

이 때문에 무게 20∼30t에 이르는 컨테이너를 싣고 내리는 크레인 아래에서 화물을 묶거나 검수하는 등의 작업이 이뤄지고, 시간에 쫓긴 트레일러 운전자들이 과속과 졸음운전을 하는 등 많은 위험요인이 상존하고 있다.
올해만 항운노조원 3명과 운영사 협력업체 직원 1명 등 4명이 숨지고 항운노조원 50여 명이 다치는 등 사고가 끊이지 않았다.
시민단체인 부산항을사랑하는시민모임 등이 성명을 내 생산성에 매몰돼 노동자 안전을 무시하는 실태를 지적하고 해수부와 항만공사의 신속한 대책 마련을 요구하기도 했다.
lyh9502@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실시간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