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스피

2,682.52

  • 46.00
  • 1.74%
코스닥

844.72

  • 4.74
  • 0.56%
1/2

"MRI로 치매 예측…정확도 89~95%"

페이스북 노출 0

핀(구독)!


뉴스 듣기-

지금 보시는 뉴스를 읽어드립니다.

이동 통신망을 이용하여 음성을 재생하면 별도의 데이터 통화료가 부과될 수 있습니다.

"MRI로 치매 예측…정확도 89~95%"

주요 기사

글자 크기 설정

번역-

G언어 선택

  • 한국어
  • 영어
  • 일본어
  • 중국어(간체)
  • 중국어(번체)
  • 베트남어
"MRI로 치매 예측…정확도 89~95%"

(서울=연합뉴스) 한성간 기자 = 자기공명영상(MRI)으로 알츠하이머 치매의 발생을 예측할 수 있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미국 워싱턴대학 의대 말린크로트 영상의학연구소(Malincrockrodt Institute of Radiology)의 사이러스 라지 박사 연구팀은 MRI의 일종으로 대뇌피질의 특성을 측정하는 기법인 확산텐서영상(DTI: Diffusion Tensor Imaging)으로 치매 발생 가능성을 89~95%의 정확도로 예측할 수 있다는 연구결과를 발표했다고 영국의 데일리 메일 인터넷판이 21일 보도했다.
현재는 간이정신상태평가(MMSE: Mini-Mental State Examination)와 치매 위험을 높이는 ApoE4 유전자 검사로 치매 위험을 예측하지만 정확도는 70~71%에 그치고 있다.
DTI로는 뇌의 속 부분인 수질 즉 백질(white matter)의 관(tract)을 따라 물 분자의 움직임을 관찰할 수 있는데 뇌의 전화선이라고 할 수 있는 백질관이 제대로 연결돼 있지 않으면 인지기능에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고 라지 박사는 밝혔다.
DTI로는 백질의 완전성(integrity)이 어느 정도인지를 평가할 수 있으며 평가는 백질의 물 분자 이동을 나타내는 분획 이방성(FA: fractional anisotropy) 수치로 표시된다고 그는 설명했다.
FA 수치가 높으면 백질관의 물 분자 이동이 원활하다는 의미이고 수치가 낮으면 백질관에 손상이 있다는 증거라는 것이다.
대뇌는 신경 세포체로 구성된 겉 부분인 피질과 신경세포를 서로 연결하는 신경 섬유망이 깔린 속 부분인 수질로 이루어져 있는데 피질은 회색을 띠고 있어 회색질(grey matter), 수질은 하얀색을 띠고 있어 백질이라고 불린다.
라지 박사 연구팀은 인지기능이 저하되거나 치매의 전단계인 경도인지장애(MCI: mild cognitive impairment)에서 치매로 이행되고 있는 노인 61명의 DTI 영상을 비교 분석했다.
이들 중 약 절반이 나중에 치매로 이행됐는데 이들은 다른 노인에 비해 FA 수치가 낮았다. 이들은 또 뇌의 특정 전두엽 부위 백질관이 현저히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FA 수치와 기타 백질 완전성의 척도를 기준으로 치매 발생 위험도를 평가한 결과 치매 예측의 정확도가 89%로 나타났다.
이 노인 중 40명을 대상으로 백질관을 보다 세밀하게 분석한 결과 치매 예측 정확도는 95%까지 높아졌다.
이 결과는 MRI로 뇌 백질의 완전성을 측정하면 치매 발생을 예측하고 본격적인 증상이 나타나기 전에 치매 발생을 지연시킬 수 있는 대책을 취할 수 있음을 보여주는 것이라고 라지 박사는 말했다.
이 연구결과는 오는 25일 시카고에서 개막되는 북미 영상의학회(Radiological Society of North America) 104차 연례회의에서 발표될 예정이다.


skhan@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실시간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