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스피

2,682.52

  • 46.00
  • 1.74%
코스닥

844.72

  • 4.74
  • 0.56%
1/3

온라인·홈쇼핑 등 무점포 매출 60조원 돌파…백화점은 '후퇴'

페이스북 노출 0

핀(구독)!


뉴스 듣기-

지금 보시는 뉴스를 읽어드립니다.

이동 통신망을 이용하여 음성을 재생하면 별도의 데이터 통화료가 부과될 수 있습니다.

온라인·홈쇼핑 등 무점포 매출 60조원 돌파…백화점은 '후퇴'

주요 기사

글자 크기 설정

번역-

G언어 선택

  • 한국어
  • 영어
  • 일본어
  • 중국어(간체)
  • 중국어(번체)
  • 베트남어
온라인·홈쇼핑 등 무점포 매출 60조원 돌파…백화점은 '후퇴'
대한상의 '2018 유통산업 통계집'…"유통산업 판도 변화 가속화"
사업체 4개 중 1개는 유통업, 종사자 수는 전체의 14.6%에 그쳐

(서울=연합뉴스) 이승관 기자 = 온라인 쇼핑 등 무점포 판매액이 지난해 60조원을 넘어선 것으로 조사됐다.
대한상공회의소(회장 박용만)가 14일 발간한 '2018 유통산업 통계집'에 따르면 지난해 무점포 판매액은 총 61조2천410억원으로, 전년(54조470억원)보다 13.3% 증가했다.
인터넷 쇼핑, 홈쇼핑, 방문 및 배달 소매 등을 합친 무점포 판매액은 2015년(46조7천890억원) 이후 매년 두 자릿수의 증가율을 거듭하면서 급성장세를 이어갔다.
편의점도 지난해 매출이 22조2천380억원으로 전년보다 14.1% 증가하면서 최근 몇년간의 약진이 계속됐다.
반면 백화점 매출은 2.0% 감소한 29조3천240억원에 그쳤고, 대형마트도 33억7천980억원으로 1.7% 증가에 그치는 등 기존의 오프라인 판매 형태는 상대적으로 부진했던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해 말 기준 국내 유통산업의 사업체수는 102만개로, 제조업을 포함한 전체 사업체수(402만개)의 25.5%를 차지했다. 사업체 4개 중 1개는 유통업인 셈으로, 단일 산업 가운데 최대 비중이다.
그러나 유통산업 종사자 숫자는 전체 산업 종사자(2천159만명)의 14.6%인 316만명으로, 제조업(412만명)보다 훨씬 적었다.
미국, 일본과 비교했을 때 사업체 비중은 크지만 종사자 수 비중은 상대적으로 작은 것이다.
미국(2015년 기준)은 전체 산업 중 유통 관련 사업체와 종사자의 비중이 각각 19.4%와 17.6%로 거의 같았고, 일본(2016년 기준)은 각각 24.3%와 20.8%였다.
지난해 유통산업에서 창출된 부가가치는 127조원으로, 우리나라 국내총생산(1천730조원)의 7.4%에 그쳤다. 미국(11.8%)과 일본(13.7%·2016년 기준)에 비해 낮다.
통계집에는 딜로이트 컨설팅이 발표한 2016년 기준 세계 상위 250대 소매기업 현황도 담겼다.
월마트와 코스트코, 크로거 등 미국 업체가 '톱3'를 휩쓸었고, 우리 기업 가운데서는 롯데쇼핑[023530]이 40위로 가장 높은 순위를 차지했다.
대한상의 관계자는 "무점포 판매가 최근 급증하면서 유통산업 판도 변화가 가속화하고 있다"면서 "혁신과 투자를 통해 유통산업의 생산성과 부가가치를 높일 수 있도록 정부와 기업의 유기적인 협력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humane@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실시간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