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스피

2,442.51

  • 24.67
  • 1.02%
코스닥

675.92

  • 14.33
  • 2.17%
1/4

환율조작국 피했지만 中경제 곳곳 '경고등'…'위기론'도 고개(종합)

페이스북 노출 0

핀(구독)!


글자 크기 설정

번역-

G언어 선택

  • 한국어
  • 영어
  • 일본어
  • 중국어(간체)
  • 중국어(번체)
  • 베트남어
환율조작국 피했지만 中경제 곳곳 '경고등'…'위기론'도 고개(종합)
금융시장 불안 속 부채 리스크 경고음…경제성장률 둔화 '발등에 불'
상하이종합지수 3% 급락…위안화 환율도 달러당 6.94대로 급등



(상하이=연합뉴스) 차대운 특파원 = 중국이 미국의 환율조작국 지정을 모면하면서 치열한 무역전쟁 와중에 일단 한숨을 돌리게 됐다.
하지만 지난 7월부터 미중 무역전쟁이 본격화하고 나서 자본시장과 외환시장이 요동치는 가운데 중국 정부의 핵심 정책 목표인 안정적인 '중속 성장' 유지마저 위협받는 등 중국 경제의 여러 분야에서 '경고등'이 켜진 상황이어서 정책 당국의 고심이 깊어지는 모습이다.
경기둔화와 미중 무역전쟁 심화 우려 속에서 가장 먼저 가시적인 타격을 입은 분야는 중국 증시와 외환시장이다.
중국 증시의 벤치마크인 상하이종합지수는 18일 전 거래일보다 2.94% 급락한 2,486.42로 거래를 마쳐 지난 2월 고점 대비 30.68% 폭락했다.
2006년 5월의 사상 최고점인 5,178.19에 비해서는 50% 이상 폭락하면서 '반 토막'이 난 상태다.
이날 종가는 2014년 11월 이후 근 4년 만에 가장 낮은 수준이다.
시진핑(習近平) 국가주석 집권 이후 중국 정부가 강도 높은 디레버리징(부채 축소) 정책을 추진하면서 국영기업보다 자금조달이 어려워진 민간기업들이 최대주주 또는 자사주를 담보로 해 증권사 등 비은행권 금융기관을 중심으로 거액의 자금을 융통했다.
올해 8월 말을 기준으로 금융권에 담보로 제공된 상장사의 주식 가치는 5조위안(약 816조원)에 달하는 것으로 집계됐다.
따라서 중국 증시 폭락으로 인한 담보가치 하락은 곧바로 금융 리스크로 전이될 수 있다는 점에서 다른 나라의 증시 급락보다 상태가 심각하다는 지적이 나온다.
또 올해 들어 달러 대비 위안화 환율이 급등(위안화 가치 급락)하면서 대규모 자본 유출 우려가 커지는 점도 중국 경제에 큰 압박 요인이 되고 있다는 지적이 나온다.
최근 6개월간 위안화 가치는 달러 대비 10% 넘게 떨어졌다. 홍콩 역외시장에서 위안/달러 환율은 이달 들어 6.94대까지 오르면서 중국 당국이 마지노선으로 여기는 7에 근접해 있다.
18일 역내 시장에서 달러 대비 위안화 환율은 장중 6.9446까지 치솟아 작년 1월 이후 가장 높은 수준을 나타냈다.
위안화 가치의 추가 하락은 미국의 고율 관세 부과를 상쇄하는 효과가 있어 수출 기업들에는 도움이 되는 것이 사실이다.
그러나 환차손을 우려한 투자자들의 투매로 이어지면서 중국 증시와 채권 시장에 치명적인 타격을 주면서 실물경제 위기로 번질 수 있다는 점에서 중국 당국은 추가적인 위안화 급락을 원하지는 않는다는 입장을 공개적으로 피력하고 있다.
리커창 중국 총리는 지난달 하계 다보스 포럼에서 "위안화의 일방적 평가절하는 단점은 많고 이익은 적어 중국은 위안화를 평가절하해 수출을 자극하는 길로 가지 않을 것"이라고 언급했다.
이런 가운데 중국의 경제성장률 둔화 추세가 뚜렷해지는 모양새다.
중국의 분기별 경제성장률은 작년 1분기 6.9%에서 계속 둔화하고 있다. 올해 2분기 성장률은 6.7%를 기록해 1분기의 6.8%보다 0.1%포인트 낮아졌다.
19일 발표될 예정인 3분기 성장률도 전 분기보다 0.1%포인트 하락한 6.6%로 예상된다. 이는 2009년 1분기의 6.4% 이후 가장 낮은 수준이다.
아직은 중국 정부가 연초에 제시한 연간 경제성장률 목표치인 6.5%보다는 높은 수준이다.
그러나 출구가 보이지 않는 미중 무역전쟁 여파로 중국의 경제성장률이 깎여나갈 수 있다는 비관적인 전망이 고개를 들고 있다.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SCMP)는 "경기하강은 금융 및 사회적 긴장을 증폭시킬 수 있다는 점에서 시진핑 주석이 이끄는 중국 지도부에 거대한 도전이 될 것"이라고 내다봤다.
중국의 급속한 경기하강은 중국 경제의 잠재적 뇌관으로 여겨지는 부채위기 문제를 터뜨리는 도화선이 될 수 있다는 점에서 중국 안팎에서는 '중국 경제 위기론'도 심심치 않게 거론되는 분위기다.
국제결제은행(BIS) 통계를 보면, 중국의 국내총생산(GDP) 대비 매크로 레버리지는 255.7%로 선진국 평균인 276.1%보다는 낮았지만 신흥국 평균(193.6%)을 크게 웃돌았다.
국제통화기금(IMF)에 따르면 2007년부터 2016년까지 세계 부채 증가액의 43%를 중국이 차지했다.
이미 올해 들어 민간 기업을 중심으로 한 디폴트(채무 불이행) 사례가 부쩍 증가하는 가운데 중국 시장에서 유독 크게 발달한 P2P(개인 간) 대출 업체들의 도산과 운영 중단이 잇따르면서 곳곳에서 투자자들의 시위까지 발생하는 등 사회적 혼란 양상도 나타났다.
최근 들어서는 중국 중앙정부의 강력한 통제 속에서 한동안 주목받지 못하던 지방정부의 숨은 채무 문제도 다시 부각되고 있다.
글로벌 신용평가기관인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는 최근 보고서에서 자금조달기관(LGFV)을 거쳐 숨겨진 중국 지방정부의 부채가 최대 40조위안, 즉 6조달러에 이를 수 있다면서 "이것은 아주 거대한 신용위기를 내포하는 채무 빙산"이라고 지적했다.
블룸버그통신은 이에 대해 "거대한 채무 빙산을 향해 다가가는 타이타닉호 같은 위험을 안고 있다"고 우려했다.
cha@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 염색되는 샴푸, 대나무수 화장품 뜬다

실시간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