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스피

2,722.67

  • 33.17
  • 1.23%
코스닥

866.18

  • 15.43
  • 1.81%
1/3

최대 광역단체 경기도내 지자체간 수도료 많게는 3배차

페이스북 노출 0

핀(구독)!


뉴스 듣기-

지금 보시는 뉴스를 읽어드립니다.

이동 통신망을 이용하여 음성을 재생하면 별도의 데이터 통화료가 부과될 수 있습니다.

최대 광역단체 경기도내 지자체간 수도료 많게는 3배차

주요 기사

글자 크기 설정

번역-

G언어 선택

  • 한국어
  • 영어
  • 일본어
  • 중국어(간체)
  • 중국어(번체)
  • 베트남어
최대 광역단체 경기도내 지자체간 수도료 많게는 3배차

(수원=연합뉴스) 김광호 기자 = 같은 상수도 물인데 20㎥ 사용요금이 어디는 5천900원인가 하면 다른 곳은 1만8천원이 넘는다. 무려 3배의 차이가 난다.



상수도 요금뿐만 아니라 경기도 내 지자체별 각종 공공요금이 이같이 큰 격차를 보이고 있다.
17일 경기도에 따르면 20㎥ 사용 기준 상수도 요금은 도내 평균 1만1천295원이다. 성남시가 5천950원으로 가장 싸고, 다음이 광명시 6천960원, 하남시 7천40원 등 순이다.
반면 이천시는 1만8천400원, 가평군은 1만8천20원, 양평군은 1만6천600원으로, 이천시의 물값이 성남시 물값보다 2.1배나 비싼 것이다.
같은 양의 하수를 처리하는 비용도 도내 평균이 7천969원으로 집계된 가운데 여주시가 3천100원, 안산시가 3천600원 등으로 비교적 싼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남양주시는 1만1천60원, 가평군은 1만1천380원, 이천시는 1만1천80원에 달했다. 가장 비싼 남양주시의 하수도 사용료가 가장 싼 여주시보다 2.8배나 높은 것이다.
종량제 쓰레기봉투(20ℓ 기준) 가격도 지역별로 큰 차이를 보인다.
가평균과 하남시가 400원, 안성시가 440원인데 비해 파주시는 800원, 남양주시는 740원, 고양시는 710원이다.
이같이 상·하수도 요금이나 쓰레기봉투 가격이 지자체별로 큰 차이를 보이는 것은 인구 밀집도와 도시화 여부 등 지역 특성에 따라 상수도와 하수도 관련 시설 등을 설치 및 운영하는데 드는 비용에 많은 차이 나기 때문이다.
또 상수도의 경우 광역상수도를 사용하는지, 지방상수도를 사용하는지 등에 따라서도 이용 요금이 큰 차이를 보인다.
여기에 지자체장들이 상·하수도 요금 및 쓰레기 처리 비용의 현실화에 대한 의지와 정책에 차이를 보이는 것도 각종 공공요금 지역별 격차의 원인으로 도는 꼽고 있다.
kwang@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실시간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