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리아 반군 최후 거점, 러·터키 '밀월' 시험대
터키, 서방과 갈등 심화하며 러에 밀착…'이들립 휴전' 러 설득엔 실패
전문가 "러·터키 신뢰 낮아져"…"러, 터키 고립 심해질때 전면공세 나설 것"
(이스탄불=연합뉴스) 하채림 특파원 = 지난 2년간 서방을 불편하게 한 러시아와 터키의 '밀월' 관계가 피할 수 없는 시험대를 만났다. 바로 시리아 반군의 마지막 주요 거점 이들립이다.
최근 2년 새 국제관계에서 러시아와 터키의 협력이 부각됐지만, 양국의 우애 과시는 그리 오래된 현상이 아니다.
역사적으로 터키는 러시아 견제에 무던히 애를 썼다.
6·25 전쟁에 대규모 군대를 파병해 무수한 피를 흘린 것도 북대서양조약기구(나토)에 가입해 러시아로부터 위협을 막기 원했기 때문이다.
1960년대 이후 최근까지 유럽연합(EU) 가입을 줄기차게 추진하며, 유럽과 가까워지려고 했다.
더욱이 2015년 러시아는 바샤르 알아사드 시리아 대통령 정권을 떠받치며 시리아내전에서 터키의 반대편에 섰다.
그해 11월 터키·시리아 국경에서 터키 공군이 러시아 전투기를 격추, 양국 관계는 얼어붙었다.
최악으로 치달은 양국 관계는 2016년 터키의 쿠데타 진압을 계기로 정상화 급물살을 탔다.
레제프 타이이프 에르도안 대통령은 권력 연장과 반대파 탄압 등으로 서방과 갈등을 겪을수록 블라디미르 푸틴 대통령과 더욱 가까워졌다.
또 에너지, 무역, 관광 등 경제·안보 분야에서도 터키의 대(對)러시아 의존도가 이미 높아져 있었다.
2016년 쿠데타 진압 직후 에르도안 대통령은 블라디미르 푸틴 대통령과 수시로 만나며 친밀함을 과시했다.
지난해에는 시리아내전의 적대국 관계에서 협력국으로 반전이 이뤄졌다.
러시아는 반군 지원국인 터키와 손잡고 유엔을 대신해 시리아 사태 논의의 주도권을 쥐었다.
터키는 미군이 쿠르드와 공조하는 것에도 강하게 반발했고, 미국의 압박에도 러시아의 방공 미사일 S-400 도입을 강행하고 있다.
하지만 지난 2년간 찰떡 공조를 과시한 양국도 반군의 마지막 거점 이들립 문제에 봉착해선 타협점을 찾지 못하고 있다.
러시아는 시리아군이 '급진' 반군조직을 소탕하고 궁극적으로 이들립의 통제권을 되찾기를 바란다.
이렇게 되면 터키는 시리아 북서부에서 영향력을 상실하고, 군사작전으로 사실상 점령한 아프린 등을 아사드 정권에 넘겨야 한다. 터키로서는 수용할 수 없는 시나리오다.
이달 7일 테헤란에서 열린 러시아·이란·터키 정상회의에서 에르도안 대통령은 이들립에서 휴전을 시행하자고 제안했으나, 푸틴 대통령과 하산 로하니 이란 대통령이 받아들이지 않았다.
전문가들은 러시아가 이들립에서 군사작전 수위를 조절한다면 양국간 협력관계가 파탄에 이르지는 않을 것으로 내다봤다.
터키는 이달 1일 이들립의 '급진' 반군 조직 '하야트 타흐리르 알샴'(HTS)을 테러조직으로 공식 지정, 러시아의 군사작전을 부분적으로 수용한다는 신호를 보냈다.
러시아·시리아군은 이달 7∼10일에 집중 공습을 벌였지만, 그 대상을 흐메이밈 공군기지의 러시아 공군에 직접적인 위협이 되는 이들립 남부와 하마주(州) 북부에 국한했다.
아랍권 매체 알자지라는 공습이 소강 상태를 보이자 11일(다마스쿠스 현지시간)에는 일부 피란민이 복귀했다고 보도했다.
워싱턴 소재 싱크탱크 '전쟁학연구소'(ISW)의 터키 연구자 엘리자베스 티어만은 AFP통신에 "당장 러시아·터키 관계가 파열음을 내지는 않고 있지만, 터키의 야망과 아사드 정권의 목표는 상충한다는 점은 자명하다"고 진단했다.
모스크바대학 소속 러시아·터키 관계 전문가 케림 하스 박사는 이달 7일 아랍권 매체 알모니터에 "양국의 신뢰 수위가 매우 낮아졌으며, 관계가 위태롭다"고 평가했다.
러시아와 터키는 국제 여론전을 벌이며 물밑으로 치열한 협상을 계속하고 있다.러시아·시리아군이 지상 작전을 포함, 전면적인 공세를 벌이는 시기는 미국과 터키의 관계가 변수가 될 것으로 예상된다.
하스 박사는 "터키가, 미국과 갈등이 더 깊어져 러시아의 조력이 더욱 절실해지는 바로 그 순간, 러시아가 대대적인 공세를 펼칠 것"이라고 예측했다.
tree@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좋아요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