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되돌아본 민선 6기] 서부산시대 열고 일자리 창출 매진
엑스포·에너지정책 성과 속 영화제 파행·해수담수화 중단 허점 노출
(부산=연합뉴스) 김상현 기자 = '2030년 글로벌 도시 부산'이라는 원대한 꿈을 안고 출범했던 민선 6기 서병수 호가 4년 임기를 마치고 29일 퇴임식과 함께 역사 속으로 사라진다.
민선 6기 부산시정은 일자리 창출, 서부산 발전, 부산형 복지, 클린에너지 도시 등 성과와 함께 글로벌 도시 도약의 기틀을 마련했다는 평가를 받는다.
하지만 부산국제영화제 파행 사태와 기장해수담수화 시설 가동 중단, 버스중앙차로제 논란, 가덕신공항 유치 실패 등 아쉬움도 남겼다.
민선 6기 서병수 부산시장은 취임 초기부터 '일자리 시장'을 자임하며 임기 동안 일자리 창출을 중심으로 부산경제 체질 강화에 힘썼다.
4차 산업혁명 등 기술혁신으로 창업생태계를 조성하고 국내외 우수기업 111개사를 유치했으며 동남권 경제를 덮친 조선·해운업 위기에도 발 빠르게 대처했다.
2030년까지 세계 30위권 글로벌 도시로 도약하겠다는 비전을 제시하며 서부산 글로벌시티 그랜드 플랜을 발표하고 서부산청사와 서부산의료원 신설, 사상 스마트시티 건설 등 서부산 발전을 위한 초석을 다졌다.
부산과 영남권 주민들의 오랜 염원인 신공항 건설에 나서 가덕신공항 유치는 실패했지만 기존 김해공항을 동남권 관문공항으로 확장하는 김해신공항 건설 계획을 확정했다.
김해신공항은 지난해 4월 정부의 예비타당성 조사를 통과하면서 5조9천억원의 사업비를 들여 연간 이용객 3천800만명 규모의 공항으로 건설한다.
2조7천억원을 들여 김해신공항 광역접근교통망으로 고속도로 5건 등도 건설한다.
서병수 호는 올림픽, 월드컵과 함께 세계 3대 메가 이벤트로 불리는 2030 등록엑스포를 부산에서 열기로 하고 유치를 위한 시동을 걸었다.
2030부산등록엑스포는 현재 정부의 국제행사 심사위원회의 타당성 조사를 통과해 국가 사업화 첫 관문을 지났다.
서 시장은 시민안전을 최우선 가치로 실현하기 위해 2017년 6월 19일 우리나라 상업 원자력발전소 1호인 고리1호기의 영구 정지를 끌어냈다.
'원전도시'라는 오명을 벗고자 2030년까지 신재생에너지 보급률을 30%까지 높이기로 하는 '클린에너지 부산' 정책을 추진해 클린에너지 정책 컨트롤타워를 설치하고 에너지기본조례도 제정했다.
이 같은 시정 성과를 바탕으로 부산은 우리나라에서 가장 살고 싶은 도시 대상에 선정됐고 2017년 사회조사 결과 '부산에 계속 살고 싶다'고 응답한 시민이 70.9%에 달할 정도로 시민 만족도가 높은 도시가 됐다.
하지만 2015년 다이빙벨 상영중단 요청으로 촉발된 부산국제영화제 파행 사태는 임기 내내 서 시장을 따라다니며 '불통 이미지'를 씌웠다.
영화제의 당연직 조직위원장 자리를 내려놓고 민간 이사장을 임명하는 등 영화제 독립 보장에 나섰으나 영화인 등의 반발을 누그러뜨리지 못했다.
2천억원에 달하는 예산이 투입된 기장군 해수담수화시설 가동 중단도 서 시장에게는 아픈 대목이다.
서 시장은 국책사업으로 추진한 기장 해수 담수화 시설의 소유와 운영권은 중앙정부에 있고 시설 유지관리비를 부담해야 하는 책임도 정부에 있다고 주장하지만 거액의 예산을 투입한 시설을 사장하고 기장 앞바다 오염 논란을 해결하지 못했다는 비난을 받고 있다.
대중교통 중심도시를 만들기 위해 시작한 중앙버스전용차로제(BRT) 건설사업과 부전천을 생태하천으로 복원하려는 계획 등도 시민과 여론의 폭넓은 지지를 얻지 못해 사업 추진에 차질이 우려된다.
이훈전 부산경실련 사무처장은 "민선 6기 서병수 시정을 한마디로 평가하면 '아쉽다'고 말할 수 있다"며 "취임 초기 불통 이미지를 개선하지 못했고 임기 후반에는 박근혜 전 대통령 탄핵사태와 맞물려 친박 정치인 프레임에서 벗어나지 못해 시민들이 피부로 느끼는 시정 성과를 내기 어려웠다"고 말했다.
joseph@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