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별 특성 분석해 자살 막는다'…사망자 7만명 전수조사
중앙심리부검센터, 2년간 254개 경찰서 돌며 변사사건 기록 분석
(서울=연합뉴스) 신재우 기자 = 정부가 지역별 자살 특성을 분석해 효과적으로 자살예방사업을 추진하기 위해 지난 5년간(2013∼2017년) 스스로 목숨을 끊은 7만명을 전수조사한다.
8일 보건복지부와 경찰청에 따르면, 자살자 전수조사는 지난 1월 23일 확정된 '자살예방 국가 행동계획'에 따라 추진되는 것으로, 복지부 산하 중앙심리부검센터 소속 조사요원이 앞으로 2년간 254개 경찰관서를 방문해 자살사건 조사기록을 확인하는 방식으로 실시된다.
올해는 자살자가 많고 자살률이 높은 서울·충남·세종·충북·강원·대전 지역과, 실업률이 높거나 높아질 것으로 우려되는 거제·통영·군산을 조사한다. 실업률은 자살에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복지부는 "경찰서별 조사가 완료되는 것과 동시에 해당 지역의 자살 특성을 분석해 조사결과가 신속하게 지방자치단체의 자살예방 사업에 반영될 수 있게 할 것"이라고 밝혔다.
이번 조사는 기존의 자살률 통계와 자살자 심리부검 조사를 보완하는 것으로, 지역별 자살 특성을 포괄적으로 파악할 수 있을 것으로 복지부는 기대했다.
기존의 자살통계 자료만으로는 파악하기 어려웠던 마을단위(읍면동) 자살 특성, 관내·외 거주 여부, 정확한 사망 장소, 빈발지점 등의 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
복지부가 본격적인 전수조사 전에 3개 지역에서 2014∼2015년 발생한 자살사건 565건을 시범 조사한 결과, 지역의 자살은 전국적 동향과 다른 특수성이 있었다.
2년간 152명이 스스로 목숨을 끊은 한 지역에서는 자살자의 40.1%가 3개 읍·면·동에 몰려 있었다. 특히 한 동(洞) 자살자의 53.3%는 40∼50대였고, 자살방법으로는 투신이 53.3%를 차지해 이 지역 평균의 4배를 기록했다. 또 투신장소 대부분은 아파트(75%)로 동일 아파트에서 자살사건이 많았다.
또 다른 지역에서는 한 개 동에서 발생한 자살자가 27명으로, 이 지역 동 평균 9.8명의 3배나 됐다. 20대(25.9%) 비율이 2배 이상 높았고, 동거인이 없는 상태에서 사망한 경우가 62.9%, 번개탄을 사용한 경우가 29.6%로 나타났다.
복지부는 자살 발생지점, 자살수단, 자살의 원인에 있어서 지역의 특성이 타지역과 확연히 구분되는 경우에는 이 특성을 자살예방 사업에 반영해야 할 필요성이 크다고 강조했다.
전명숙 보건복지부 자살예방정책과장은 "전수조사 결과를 향후 건강보험 데이터 등 기존 공공데이터와 연계하고 지역별 실업률 등과 비교·분석해 자살률 감소에 실질적인 도움이 되는 자료를 도출할 것"이라고 말했다.
withwit@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