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스피

2,583.27

  • 2.24
  • 0.09%
코스닥

727.41

  • 7.18
  • 0.98%
1/3

[신간] 해방 직후 국사교육 연구

페이스북 노출 0

핀(구독)!


글자 크기 설정

번역-

G언어 선택

  • 한국어
  • 영어
  • 일본어
  • 중국어(간체)
  • 중국어(번체)
  • 베트남어
[신간] 해방 직후 국사교육 연구
근대화론과 냉전 지식 체계



(서울=연합뉴스) 박상현 기자 = ▲ 해방 직후 국사교육 연구 = 김상훈 지음.
고등학교에서 학생을 가르치면서 박사학위를 받은 저자가 학위 논문을 보강해 1945년 해방 이후 남한에서 이뤄진 교육정책 수립과 국사교육을 분석했다.
역사교육 측면에서 해방은 비정상을 정상화할 수 있는 일대 사건이었다. 일제는 국가에 헌신하고 심지어 목숨도 바칠 수 있는 신민을 길러내기 위해 왜곡된 역사를 교육했다. 한국은 주권을 되찾으면서 제대로 된 역사교육을 할 수 있게 됐으나, 역사교육 체계를 갖추지 못했고 교원도 부족했다.
저자는 이러한 상황에서 미군정이 끝나고 정부가 발표한 교육정책에 대해 "중심은 학생이 아니라 민족과 국가였다"며 "민족의 사명과 자각은 학생들이 생각하고 토론해서 결정할 것이 아니라 반드시 습득하고 실천해야 할 것이었다"고 비판한다.
그는 정치와 경제에 의해 역사교육이 흔들리는 현상이 현재도 벌어지고 있다고 강조한다. 정부가 지난 몇 년간 역사교육 정책을 놓고 혼선을 빚은 것을 보면 합당한 지적이다.
저자는 "역사교육은 국가와 권력의 도구가 아니라 그 자체로서 학생들에게 의미 있는 교육이 돼야 한다"고 주장한다.
경인문화사. 440쪽. 3만2천원.
▲ 근대화론과 냉전 지식 체계 = 김성보·신주백 외 지음.
1960년대 국내에 들어온 근대화론이 지배 담론으로 정착한 과정과 한국사회에 미친 영향을 연세대 국학연구원 연구팀이 다각도로 조명한 책.
이 책을 엮은 신주백 연세대 HK연구교수는 근대화론을 1880∼1890년대 문명화론, 1990년대 세계화론과 함께 한국 근현대사를 뒤흔든 이론이라고 평가하면서 "미국이 지식 헤게모니를 강화하며 공산권에 대항해 진영을 결속시킨 담론이었다"고 설명한다.
특히 1960년대 한국은 산업화를 추진했기 때문에 근대화론이 신속하게 주류 담론이자 핵심 화두가 됐다고 신 교수는 강조한다.
당시 근대화론을 수용한 학계 움직임을 비롯해 제3세계 문학론, 민족경제론, 1970년대 여성 담론과 근대화론 사이 접점을 분석한 논문이 실렸다.
혜안. 340쪽. 2만8천원.
psh59@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 염색되는 샴푸, 대나무수 화장품 뜬다

실시간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