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스피

2,784.06

  • 7.99
  • 0.29%
코스닥

838.65

  • 3.47
  • 0.41%
1/3

"기억은 어디에 쌓일까" 서울대 연구진, '기억저장 시냅스' 발견

페이스북 노출 0

핀(구독)!


뉴스 듣기-

지금 보시는 뉴스를 읽어드립니다.

이동 통신망을 이용하여 음성을 재생하면 별도의 데이터 통화료가 부과될 수 있습니다.

"기억은 어디에 쌓일까" 서울대 연구진, '기억저장 시냅스' 발견

주요 기사

글자 크기 설정

번역-

G언어 선택

  • 한국어
  • 영어
  • 일본어
  • 중국어(간체)
  • 중국어(번체)
  • 베트남어
"기억은 어디에 쌓일까" 서울대 연구진, '기억저장 시냅스' 발견
강봉균 교수팀, 70년전 가설 실험으로 입증…국제학술지 '사이언스'에 발표

(서울=연합뉴스) 신선미 기자 = 며칠 전 유명 '맛집'서 점심을 먹은 일, 친구와 만나 나눈 이야기 등 삶의 매 순간은 머릿속에 사진처럼 남는다. 이런 소중한 기억들은 뇌 속 어디에 저장되는 걸까. 1949년 캐나다의 심리학자인 도널드 헵 박사는 신경세포의 연결지점인 '시냅스'에 기억이 저장된다는 가설을 제안했다.
지금껏 기술적인 한계로 이 가설을 아무도 입증하지 못했는데, 최근 서울대 연구진이 이를 실험으로 규명하는 데 성공했다.
강봉균 서울대 생명과학부 교수팀은 동물 실험을 통해 기억이 저장되는 시냅스를 찾았다고 27일 밝혔다. 약 70년간 유지됐던 가설을 실험으로 확인해낸 것이다.

연구진이 이런 '기억저장 시냅스'를 찾을 수 있었던 건, 신경세포 한 개에 있는 시냅스를 종류별로 구분할 수 있는 기술(dual-eGRASP)을 개발한 덕분이다.
이 기술은 형광 표식을 이용해 시냅스를 색으로 구분하는 것이다. 가령 종류가 다른 시냅스를 각각 청록색과 노란색 형광으로 표시하면, 현미경으로 관찰할 때 쉽게 구별할 수 있다.

연구진은 쥐의 뇌를 이루는 세포에 이 기술을 적용했다. 기억 담당 부위인 해마 속 신경세포의 시냅스를 관찰한 결과, 기억이 생성될 때 '엔그램 세포'(engram cells) 간 시냅스의 수가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아울러 이 세포 수상돌기의 가시 크기가 증가하는 등 구조 변화도 확인됐다.

강봉균 교수는 "한 신경세포의 시냅스를 구분할 수 있는 신기술을 개발하고, 이를 통해 기억이 어디에 저장되는지 그 위치를 규명했다"고 연구의 의의를 밝혔다.
이어 "이번 연구는 치매, 외상후스트레스장애 등 기억 관련 질환을 치료하는 데도 새로운 이정표를 제시할 것으로 기대한다"고 밝혔다.
이번 연구는 과학기술정보통신부 기초연구지원사업(개인연구)의 지원으로 수행했으며, 연구 결과는 이날 국제학술지 '사이언스'(Science)에 실렸다.
sun@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실시간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