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스피

2,564.63

  • 1.12
  • 0.04%
코스닥

733.52

  • 9.79
  • 1.32%
1/3

[정상회담 D-1] '停戰 65년' 마침표 찍고 평화체제 토대 닦을까

페이스북 노출 0

핀(구독)!


글자 크기 설정

번역-

G언어 선택

  • 한국어
  • 영어
  • 일본어
  • 중국어(간체)
  • 중국어(번체)
  • 베트남어
[정상회담 D-1] '停戰 65년' 마침표 찍고 평화체제 토대 닦을까
2007년 2차 남북정상회담 '종전선언' 부활 또는 평화선언 가능성
종전선언에 엇갈린 시각…"비핵화협상 탄력"vs "핵 위의 평화 우려"



(서울=연합뉴스) 조준형 기자 = 하루 앞으로 다가온 2018 남북정상회담에서 남과 북이 65년간 유지해온 한반도 정전체제에 마침표를 찍기 위한 첫걸음을 뗄지 주목된다.
'평화, 새로운 시작'이 슬로건인 데서 보이듯 정전체제를 넘어선 평화체제 구축은 이번 정상회담의 핵심 의제 중 하나로 꼽힌다.
법적으로 전쟁이 끝나지 않은 한반도의 정전체제를 평화체제로 전환함으로써 북한이 더는 핵무기를 보유할 이유가 없도록 만드는 일은 북한 비핵화에 대한 '상응 조치'인 동시에 비핵화 협상의 '견인차'가 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를 모은다.
무엇보다 북핵 해결의 과정과 평화체제 구축의 과정이 사실상 처음으로 병행 가동될 수 있을지가 중요 관전 포인트로 떠올랐다.
평화체제의 울타리 안에는 전쟁을 법적으로 끝내는 평화협정 체결과 북미 국교 정상화, 주한미군의 역할과 한미합동군사훈련의 향배, 남북 간 해상 불가침 경계선 확정, 평화보장 관리기구의 구성 및 운영, 비무장지대의 평화지대로의 전환, 군비통제 등 다양한 요소가 존재한다. 외교가는 북한 비핵화와 평화체제 프로세스가 상호 영향을 주거니 받거니 하며 진행되다가 북한 보유 핵무기의 최종 폐기와 평화협정 발효를 통해 동시에 마침표를 찍는 시나리오를 그린다.
문재인 대통령은 평화체제 로드맵에 대해 일단의 구상을 밝힌 바 있다.
문 대통령은 지난 19일 언론사 사장단과의 간담회에서 "65년 동안 끌어온 정전체제를 끝내고 종전선언을 거쳐 평화협정의 체결로 나아가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는 결국 평화협정 체결 전에 종전선언을 과도적 단계로 상정할 것임을 밝힌 것이었다.
이 대목에서 관측통들은 2007년 제2차 남북정상회담 합의문인 10·4선언에 담긴 종전선언 구상의 부활을 떠올리고 있다.
10·4선언에는 "3자 또는 4자 정상들이 한반도 지역에서 만나 종전을 선언하는 문제를 추진하기 위해 협력해 나가기로 했다"는 문구가 들어갔다.
당시 3자, 4자가 어느 나라를 의미하는지를 두고 모호성이 있었지만 문 대통령은 24일 아베 신조(安倍晋三) 일본 총리와의 통화에서 "종전선언은 남북만의 대화로 해결되는 것이 아니라 최소한 남북미 3자 합의가 이뤄져야 성공할 수 있다"며 기본적으로 남북미 3자 간의 선언을 구상하고 있음을 시사했다.



결국, 이번 남북정상회담 합의문에는 10·4선언에 담긴 종전선언 추진 구상을 재확인하거나 '평화선언' 등의 새 이름으로 새롭게 추진한다는 계획이 담길 수 있어 보인다. 그 구상은 이어 열릴 북미정상회담에서 더욱 구체화한 뒤 우리 정부가 구상 중인 남북미 3자 정상회담이 성사되면 거기서 실제 선언을 하는 시나리오로 전개될 가능성이 점쳐진다.
평화체제의 최종단계라 할 평화협정 체결 전에 종전을 먼저 선언하는 구상에 대한 시각은 엇갈린다.
길고 어려울 비핵화 및 평화체제 협상의 출발점에서 남북미 정상이 종전을 먼저 선언할 경우 그 평화의 동력은 향후 협상에 큰 힘이 될 것이라는 기대가 존재한다.
종전선언의 동력을 살려 북핵 6자회담 9·19 공동성명(2005년)에 명시된 대로 북핵 협상 채널과는 별도의 한반도 평화체제 협상 틀을 만든 뒤 비핵화 진전에 발맞춰 평화체제를 진전시켜 나갈 수 있을 것이라는 얘기다.
반면 북핵 문제가 완전히 해결되지 않은 상황에서 종전선언으로 한반도 안보 지형이 크게 변하는 데 대한 우려 섞인 시각도 존재한다.
종전을 선언할 경우 한반도는 휴전관리체제에서 종전관리체제로 전환해야 하는데 이는 결국 휴전관리의 주체인 유엔사령부의 지위와 역할 변화 등 한반도 안보와 관련한 중요 변화로 연결될 수밖에 없다는 게 전문가들의 지적이다.
북한이 여전히 핵무기를 보유한 상황에서 이처럼 중요한 변화들이 이뤄질 경우 모두가 목표로 하는 '핵 없는 평화'가 아닌 '핵 위의 평화'가 국제사회에서 점점 용인될 수 있다는 극단적인 우려도 존재한다.
이상현 세종연구소 연구기획본부장은 "비핵화가 되어야 평화체제가 되고, 평화체제가 되려면 종전도 되어야 하는 등 3개가 서로 맞물려 가는 것이기에 비핵화 진전에 맞춰 상황을 보아 가면서 종전선언과 평화체제 논의를 추진해 나가야 한다"고 말했다.jhcho@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 염색되는 샴푸, 대나무수 화장품 뜬다

실시간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