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img.yonhapnews.co.kr/etc/inner/KR/2018/04/09/AKR20180409153600017_01_i.jpg)
비만학회 새 지침… 비만환자, 연간 최대 50만8천원 의료비 추가지출
"평상시 BMI 23 이내 유지하고 허리둘레도 신경써야"
(서울=연합뉴스) 김길원 기자 = 대한비만학회가 몸무게(㎏)를 키의 제곱(㎡)으로 나눈 체질량지수(BMI.㎏/㎡)가 23∼24.9에 해당하면 비만 전단계로 구분하는 등 '한국형 비만' 진단 기준을 변경했다.
대한비만학회(이사장 유순집 가톨릭대학교 부천성모병원 내분비내과 교수)는 지난 6일 열린 제48회 춘계학술대회에서 '2018 비만진료지침'을 새롭게 마련해 발표했다고 9일 밝혔다.
이번 비만 진료지침은 기존의 과체중 단계를 '비만 전단계'로 바꾸고, 비만은 3단계로 구분한 게 특징이다.
내용을 세부적으로 보면 우선 비만 기준은 BMI 수치 25 이상으로 기존과 달라지지 않았다.
하지만 당뇨 전단계처럼 BMI 23~24.9 사이가 비만 전단계로 새롭게 신설됐다. 기존의 과체중이라는 표현 대신 비만 위험을 부각한 것이다. 또 같은 비만이라도 BMI 25∼29.9면 1단계 비만, 30∼34.9면 2단계 고도 비만, 35 이상이면 3단계 초고도 비만으로 진단하도록 했다.
학회는 이런 진단 기준이 2천만명 이상의 국민건강보험공단 건강검진 수검자를 대상으로 한 전수조사에서 관찰된 'BMI에 따른 동반질환 위험도'를 반영한 것이라고 설명했다.
학회 관계자는 "한국 빅데이터 분석결과 당뇨병, 고혈압, 이상지질혈증의 세 가지 성인병 중 한 가지 이상을 가지는 BMI 기준점은 BMI 23으로 확인됐다"면서 "평상시 23 미만의 BMI 수치를 유지하는 게 바람직하다"고 권고했다.
학회는 또 비만 환자가 정상체중보다 연간 최대 50만8천781원의 의료비용을 추가 지출한다는 분석결과도 제시했다.
BMI를 기준으로 3단계 비만일 경우 정상체중에 견줘 14.3∼50.1%의 의료비용 상승을 동반했으며, 복부비만을 가늠하는 허리둘레 수치에 따라서도 최소 2.5%에서 최대 53.3%까지 의료비용이 증가했다는 것이다.
강북삼성병원 내분비내과 이원영 교수는 "BMI가 정상이거나 비만 전단계라고 하더라도, 허리둘레가 남성 90㎝ 이상, 여성 85㎝ 이상이면 동반질환의 위험이 1단계 비만 환자와 비슷한 수준"이라며 "향후 비만 진단과 합병증 예방에서 BMI와 더불어 허리둘레가 반드시 고려돼야 한다"고 말했다.
<YNAPHOTO path='AKR20180409153600017_01_i.jpg' id='AKR20180409153600017_0101' title='' caption='한국인에서 체질량지수와 허리둘레에 따른 동반질환 위험도 [대한비만학회 제공=연합뉴스]'/>
bio@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