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림픽 결산] ⑬ 콤팩트한 경기장 '위상 제고'…사후활용은 '과제'
첨단공법 적용 경기장 시설 비용 절감…기술력·알뜰 올림픽 호평
강원도, 동계아시안게임 남북 공동개최 추진하며 시설 유지 가닥
(춘천=연합뉴스) 임보연 기자 = 강원도는 2018평창동계올림픽 유치 과정에서 국제올림픽위원회(IOC)와 약속한 대로 선수 중심 경기장 건설에 중점을 뒀다.
그 결과 평창동계올림픽 경기장은 역대 동계올림픽 가운데 가장 콤팩트하다.
올림픽에 필요한 경기장 12개, 메인프레스센터(MPC), 국제방송센터(IBC), 선수촌 등 대회 관련 시설 모두 개·폐회식장인 평창 올림픽플라자에서 차량으로 30분 이내, 선수 75% 이상이 숙소에서 경기장까지 10분 이내 도착 거리이다.
여기에 각 경기장 건설에 최첨단 기술이 적용돼 비용 절감은 물론 각종 기록 경신에 이바지한 것으로 평가돼 세계에 대한민국과 강원도의 위상을 각인시켰다.
다만 경기장 시설과 운영 경험을 사후에 유의미하게 활용하기 위한 계획은 아직 숙제다.
올림픽 개막전까지는 관련 법 개정을 통한 국가 차원 관리나 국비 지원 등을 놓고 줄다리기를 벌이면서 일부 시설의 매각이나 해체 등을 추진했다.
그러나 남북관계 개선 등을 염두에 두고 도가 2021년 동계아시안게임 남북 공동개최 등을 검토하면서 시설 유지로 가닥을 잡음에 따라 정부 등과의 협의 과정에서 논란이 될 것으로 전망된다.
◇ 최첨단·친환경 공법 '유산'…비용 절감으로 경제올림픽 구현
대회를 위한 경기장 등 13개 시설 중 7개는 신설하고 6개는 보완했다.
최첨단 공법과 자재 및 기술 국산화 등으로 비용을 절감, 경제올림픽을 실현했다는 평가다.
강릉 스피드스케이팅경기장은 최첨단 제빙시설로 최고의 빙질을 자랑하며, 강릉 아이스아레나는 오전 오후 각 피겨스케이팅과 쇼트트랙 경기를 병행할 수 있는 제빙 시스템을 갖췄다.
강릉하키센터는 해체와 조립이 쉬운 구조로 설계한 데다 에너지 절약형 제습 공조기를 설치해 유지관리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관동하키센터도 올림픽 이후 시민 종합체육관으로 활용하고자 4층 임시객석 철거가 가능한 구조다.
알펜시아 슬라이딩센터는 트랙 시공기술을 국산화해 공사 기간을 18개월 단축하는 등 수입대체 효과만 100억원에 이른다.
정선 알파인경기장은 산림·환경훼손을 줄이고자 동계올림픽 최초로 남녀코스를 통합했으며, 기상관측자료 분석을 통해 조명설치를 제외해 142억원을 절감했다.
보광 스노보드경기장은 러시아 소치가 3년 이상 걸린 것을 단 3개월 만에 건설, 우수한 시공능력을 세계에 알림과 동시에 52억원의 비용을 줄였다.
용평 알파인 경기장도 첨단공법 적용으로 3개월 만에 공사를 마쳐 30억원을 절감했다.
올림픽플라자는 외신으로부터 '개·폐회식만 치르고 철거해 냉정하지만 실용적이다'라는 평가를 받았다.
940억원을 들여 신설했지만, 유지비용 부담 등으로 대회 종료 후 가변 석과 가설건축물을 떼어낸 뒤 올림픽 기념관, 고원훈련장 등으로 활용될 예정이다.
이런 올림픽플라자는 '저비용 고감동'의 개·폐회식 산실이 됐다.
개·폐회식 예산 668억원 중 200억∼300억원으로 콘텐츠를 만들어 저비용 고감동 과제를 해결해 호평받았다.
이는 개·폐회식에 6천억원을 쏟아부은 2008년 베이징올림픽의 9분의 1에 불과하다. 2010년 밴쿠버올림픽은 1천715억원, 2012년 런던올림픽은 1천839억원이었다.
◇ 사후활용 방안 최우선 과제…'애물단지 전락 우려
경기장을 비롯한 대회시설은 올림픽 이후 남겨지는 중요한 유형 유산이다.
12개 경기장 중 대부분 경기장이 일반 국민이 활용할 수 있는 생활체육시설과 선수들의 훈련장 및 경기장으로 활용돼 국민 생활 체육과 동계스포츠발전에 이바지할 것으로 기대를 모으고 있다.
하지만 경기장 시설 사후활용 문제는 그야말로 '뜨거운 감자' 신세이다.
애초 경기장 활용도를 높이기 위해 정부가 맡아서 운영해야 한다는 강원도와 올림픽 개최 주체가 떠안아야 한다는 정부 방침이 대립해 왔다.
대회 성공 개최와 함께 개막 전 조기 해결할 최우선 과제였다.
토마스 바흐 IOC 위원장까지 나서 기자회견을 통해 대회 개막 전 정부를 포함해 사후활용 방안 해결을 촉구한 바 있다.
하지만 평창올림픽에 북한이 참여하면서 강원도의 방침이 바뀌었다.
최문순 지사는 남북관계 개선에 따른 스포츠 교류 확대 등을 염두에 두고 2021년 동계아시안게임 남북공동개최를 추진하면서 애초 일부 시설의 매각이나 해체 등의 계획을 수정, 유지하는 쪽으로 가닥을 잡았다.
이번 올림픽을 치르면서 남북관계를 개선하는 중요한 경로나 수단이 될 수 있는 만큼 남북스포츠 교류 확대 등을 위해서는 시설유지 가치가 높아졌다고 판단했다.
도는 이 같은 방안을 정부와 협의한다는 방침이나 정부 등으로부터 공감대를 끌어낼지는 두고 봐야 할 일이다.
앞서 도는 관리주체를 정하지 못한 정선 알파인경기장, 강릉 스피드스케이팅경기장, 강릉 하키센터 등 3개 시설의 사후활용방안을 두고 고민해 왔다.
정선 알파인경기장은 복원할 예정인 가운데 도는 1988년 서울올림픽 경기시설과 마찬가지로 이들 시설의 정부 차원 관리를 위해 '국민체육진흥법' 개정 등을 추진하고 있으나 정부와 국회 등의 공감대를 얻지 못하고 있다.
또 정부에 경기 전문 시설인 스피드스케이팅·강릉하키센터·슬라이딩센터·스키점프센터 등 4개 경기장의 전문 체육시설 지정을 비롯해 관리를 위한 국비 34억원 지원과 정부부담 75%를 요구했지만 별다른 진전이 없었다.
최문순 지사는 "경기장 사후활용은 그동안 끝나고 나면 쓸 데가 마땅치 않고 유지관리비가 많이 들어가 일부는 헐고, 일부는 기업에 매각 또는 위탁 관리하는 등 여러 가지로 생각했는데 올림픽을 치르면서 상황이 변해 유지하는 쪽으로 의견이 바뀌었다"며 "문체부 등 관련 부처와 조율할 필요가 있어 빨리 정리하지 못하고 있으나 해법을 찾도록 하겠다"고 말했다.
limbo@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