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스피

2,455.91

  • 48.76
  • 1.95%
코스닥

678.19

  • 16.20
  • 2.33%
1/3

'5천억' 다빈치 그림, 경매 하루만에 다시 진위논란(종합)

페이스북 노출 0

핀(구독)!


글자 크기 설정

번역-

G언어 선택

  • 한국어
  • 영어
  • 일본어
  • 중국어(간체)
  • 중국어(번체)
  • 베트남어
'5천억' 다빈치 그림, 경매 하루만에 다시 진위논란(종합)

"다빈치 아닌 '다빈치 화실' 작품…다빈치 다른 작품들과 달라"

"경매사 마케팅으로 '몸값' 높여…과시 욕구 반영" 지적도




(뉴욕·서울=연합뉴스) 이귀원 특파원 김연숙 기자 = 우리돈으로 약 5천억원(4억5천만달러)에 낙찰되며 세계 미술품 경매사를 새로 쓴 레오나르도 다빈치의 그림 '살바토르 문디'(구세주)를 두고 논란이 분분하다.

해당 작품이 실제 다빈치의 작품이 맞는지, 작품의 보존 상태 등을 고려할 때 그 정도의 몸값을 가질 가치가 있는지를 두고 전문가들이 각기 다른 해석을 내놓고 있다.

경매사 크리스티 측은 이 작품이 다빈치가 그린 것이 확실하다고 밝혔지만, 반론을 주장하는 전문가들도 적지 않다.

AP통신은 16일(현지시간) 일부 학자들은 살바토르 문디를 다빈치가 직접 그린 것이 아니라 다빈치 화실에서 그린 것으로 본다며 회의적인 시각을 소개했다.

다빈치 작품 전문가이자 예술사학자인 자크 프랑크는 "다빈치가 일부 참여한 화실 작품"이라며 참여 정도를 15% 수준으로 추정했다. 그는 그림 속 손의 모양이 다빈치의 해박한 해부학 지식을 반영하지 못했다고 지적했다.

제이손 프라고노프도 이날 뉴욕타임스(NYT) 칼럼에서 "능숙하긴 하지만 16세기 전환기 이탈리아 북부 롬바르디로부터 나온 특별히 뛰어난 종교적 그림은 아니다"라며 '이슬람식 터치'가 가미된 의상, 예수의 고불고불한 머리카락 등이 다비치의 다른 작품들과 차이가 있다고 설명했다.

레오나르도 작품 전문가이자 예술사학자인 자크 프랑크도 NYT에 "기껏해야 레오나르도(의 요소)를 조금 갖춘 좋은 스튜디오 작품이고 많이 손상됐다"면서 "이 작품은 '남성 모나리자'라고 불려왔지만 전혀 그렇제 보이지 않는다"고 말했다.

워싱턴포스트(WP)의 필립 케니컷 미술전문 기자는 이 작품의 엄청난 가격이 진위에 대한 의심을 없애주진 않는다며, 다빈치의 작품이라기보다는 다빈치가 일부 참여했을지도 모른다고 보는 게 안전할 것이라고 전했다.

이어 다빈치의 작품으로 명명됨으로써 승리할 수밖에 없는 '브랜드의 힘'이라고 규정했다.

애초 다빈치의 제자가 그렸거나 다빈치의 복제품으로 알려졌던 이 작품에 르네상스 미술 거장의 이름이 덧입혀짐으로써 그의 손길을 거친 신성한 유물이 됐다는 것이다.

그러면서 원본과 복제에 대한 개념 구별이 없는 포스트 기술 복제 시대에, '원본' 다빈치의 그림에 열광하는 것은 단순히 그의 그림이나 이미지 때문이 아니라 실제로 남아있는 다빈치의 '물리적 터치에 흔적'에 열광하는 것이라고 분석했다.






이런 가운데 천문학적인 가격으로 낙찰된 이번 경매는 '브랜딩의 승리'라고 보는 시각도 비등하다.

미술사 연구가이자 딜러인 벤더 그로스베너 박사는 영국 일간지 가디언에 "크리스티 측이 새롭고 흥미로운 방식으로 홍보한 것이 효과가 있었다"고 말했다.

크리스티 측은 경매 전 외부대행 기관을 선정해 작품을 홍보하고 홍콩, 런던, 뉴욕 등지에서 전시회를 여는 등 전례 없는 마케팅을 벌였다.

또 1500년대에 제작된 것으로 추정되는 이 작품을 부유하고 열성적인 바이어들이 많은 '현대미술' 경매시장에 내놨다.

이처럼 몸값만 높이는 것이 전체 미술 시장에 그다지 바람직하지 못하다는 지적이다.

미술품 투자 및 자문업체 '파인 아트 그룹'의 가이 제닝스는 이번 경매에 대해 "미술 시장의 전반적인 건강을 위한 것 같지 않다"며 막판에 과시적 성격의 수집가가 치열하게 경쟁을 벌인 것 같다고 추측했다.

그는 "이런 종류의 게임을 할 능력이 있는 사람들이 가진 부의 엄청난 불균형이 반영된 것"이라며 "세계가 미쳤다"고 비판했다.

낙찰자가 누구인지는 밝혀지지 않았으나 가디언은 저명한 바이어 또는 아시아와 중동의 신생 바이어였다는 게 일반적인 관측이라고 전했다. 루브르 아부다비와 같은 신생 기관도 거론된다.




nomad@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 염색되는 샴푸, 대나무수 화장품 뜬다

실시간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