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스피

2,636.52

  • 1.08
  • 0.04%
코스닥

839.98

  • 7.99
  • 0.96%
1/2

'미세먼지 주성분' 카드뮴 노출 많을수록 걸음 느려진다

페이스북 노출 0

핀(구독)!


뉴스 듣기-

지금 보시는 뉴스를 읽어드립니다.

이동 통신망을 이용하여 음성을 재생하면 별도의 데이터 통화료가 부과될 수 있습니다.

'미세먼지 주성분' 카드뮴 노출 많을수록 걸음 느려진다

주요 기사

글자 크기 설정

번역-

G언어 선택

  • 한국어
  • 영어
  • 일본어
  • 중국어(간체)
  • 중국어(번체)
  • 베트남어
'미세먼지 주성분' 카드뮴 노출 많을수록 걸음 느려진다

최윤형 가천대 교수 연구팀 "심한 사람, 7년간 노화한 것과 비슷"

(대전=연합뉴스) 이재림 기자 = 미세먼지 주성분인 카드뮴이 운동 기능을 감퇴할 수 있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한국연구재단은 최윤형 가천대 의대 교수 연구팀이 중장년 성인을 대상으로 한 역학 조사 내용을 분석해 카드뮴에 많이 노출될수록 보행속도가 줄어드는 것을 확인했다고 13일 밝혔다.

은백색 중금속인 카드뮴은 호흡곤란이나 간 기능 장애를 부르는 1급 발암물질이다.

미세먼지나 담배 연기에 주로 포함돼 있다.

어패류·곡류·야채 등 섭취를 통해서도 인체에 영향을 줄 수 있다고 알려졌다.

특정 환경에서 카드뮴 중독이 질환을 일으킨다는 연구 결과는 많으나, 일상에서 노출된 카드뮴 유해성에 대해서는 연구가 미흡한 실정이라고 재단 측은 설명했다.

최 교수 연구팀은 50세 이상 미국인 3천671명을 대상으로 한 역학 조사 자료를 분석한 결과 혈중 카드뮴 농도가 증가할 때 보행속도가 감소하는 것을 파악했다.


혈중 카드뮴 농도가 높은 상위 20%는 하위 20%보다 1분당 3.3m가량 느렸다고 연구팀은 설명했다.

이는 7년간 노화했을 때의 보행속도 감소와 맞먹는 수치다.

연구팀은 동물실험을 통해 카드뮴에 노출됐을 때 운동신경 시스템이 망가지고 산화 스트레스와 염증이 증가하는 것을 관찰했다.

이는 중추신경계 기능 약화를 일으키고 신체기능 감퇴를 가속화해 보행속도 감소에 영향을 미친다.

최윤형 교수는 "혈중 카드뮴 농도와 보행속도 간 관련성에 대한 최초의 역학연구"라며 "국민건강을 위한 환경보건 정책 결정에 활용한다면 운동 기능 감소와 근골격계 질환 예방에 도움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연구는 교육부·한국연구재단 학문후속세대양성사업(대통령 포닥 펠로우십) 등 지원으로 수행했다.

결과 논문은 환경 분야 세계적 권위지 '환경오염(Environmental Pollution)에 실린다.

김정훈 가천대 연구교수가 제1저자, 아나 나바스-에시엔 미국 콜롬비아대 교수와 에스더 가르시아-에스끼나스 스페인 마드리드대 교수가 공동저자다.

walden@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실시간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