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스피

2,784.06

  • 7.99
  • 0.29%
코스닥

838.65

  • 3.47
  • 0.41%
1/3

文대통령, 17일 '취임 100일' 기념 첫 기자회견

페이스북 노출 0

핀(구독)!


뉴스 듣기-

지금 보시는 뉴스를 읽어드립니다.

이동 통신망을 이용하여 음성을 재생하면 별도의 데이터 통화료가 부과될 수 있습니다.

文대통령, 17일 '취임 100일' 기념 첫 기자회견

주요 기사

글자 크기 설정

번역-

G언어 선택

  • 한국어
  • 영어
  • 일본어
  • 중국어(간체)
  • 중국어(번체)
  • 베트남어
文대통령, 17일 '취임 100일' 기념 첫 기자회견

북핵·부동산 정책·문재인 케어·탈원전 등 국내외 현안 생각 밝힐 듯

역대 대통령 '취임 100일 기자회견' 관행…朴 전 대통령은 안해

8·15 경축식에 '군함도' 생존자 초청

(서울=연합뉴스) 김승욱 박경준 기자 = 문재인 대통령이 취임 100일인 오는 17일 청와대에서 출입기자들과 취임 후 첫 기자회견을 한다.






청와대 관계자는 11일 기자들과 만난 자리에서 "문 대통령의 취임 100일인 17일 청와대에서 기자회견이 예정돼 있다"고 말했다.

문 대통령은 이날 기자회견에서 북핵 문제와 한반도 안보 위기 등 외교·안보 이슈와 '문재인 케어', 8·2 부동산 대책, 초고소득 증세, 탈원전 정책 등 다양한 정책 현안에 대한 생각을 밝힐 것으로 보인다.

그간 역대 대통령의 취임 100일 기념 기자회견은 일종의 청와대 관행처럼 자리 잡아왔다.

역대 정권에서는 새 정부 출범 100일 기념행사의 하나로 대통령의 국정 성과와 국정운영 방향을 설명하는 기자회견을 해왔다. 보통 내외신 합동 회견 형식이었고 전국에 TV로 생중계됐다.

김영삼, 김대중, 노무현 전 대통령은 모두 취임 100일 즈음에 회견장에 섰고, 이명박 전 대통령의 경우 '쇠고기 파동' 위기 속에서도 취임 116일이던 2008년 6월19일 특별기자회견을 열었다.

다만, 박근혜 대통령은 취임 100일 기자회견을 하지 않았다. 당시 청와대는 박 대통령이 정치적인 쇼나 이벤트를 선호하지 않고, 정부조직법 개정안이 국회에서 지각 통과된 데다 북한의 도발 위협으로 국정이 정상궤도에 오르지 않았다는 점 등을 이유로 들었다.

문 대통령은 취임 100일 기자회견에 앞서 광복절인 15일 세종문화회관에서 열리는 제72주년 광복절 경축식에 참석한다.

이날 광복절 경축사에서 최근 북한의 도발로 한반도 안보 위기가 엄중한 상황에 이른데 대한 문 대통령의 메시지가 나올지 주목된다.

문 대통령은 또 광복절 경축식에 '군함도' 생존자를 초청할 예정이다.

군함도는 일제강점기 조선인 노동자들이 강제노동하던 장소로, 문 대통령은 인권변호사 시절인 2000년 군함도의 소유주였던 일본 미쓰비시 중공업을 상대로 피해자 6명을 대리해 손해배상 소송을 제기한 바 있다.

kind3@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실시간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