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스피

2,772.33

  • 19.72
  • 0.71%
코스닥

844.24

  • 2.12
  • 0.25%
1/3

파키스탄, 대북 추가제재 동참…미국 독자제재방안 수용

페이스북 노출 0

핀(구독)!


뉴스 듣기-

지금 보시는 뉴스를 읽어드립니다.

이동 통신망을 이용하여 음성을 재생하면 별도의 데이터 통화료가 부과될 수 있습니다.

파키스탄, 대북 추가제재 동참…미국 독자제재방안 수용

주요 기사

글자 크기 설정

번역-

G언어 선택

  • 한국어
  • 영어
  • 일본어
  • 중국어(간체)
  • 중국어(번체)
  • 베트남어
파키스탄, 대북 추가제재 동참…미국 독자제재방안 수용

(뉴델리=연합뉴스) 나확진 특파원 = 북한이 지난달 28일 대륙간탄도미사일(ICBM)급 '화성-14형' 미사일을 발사한 가운데 파키스탄 정부가 미국을 따라 유엔안전보장이사회 제재 결의 수준을 넘는 추가제재에 동참했다.


5일 파키스탄 일간 더뉴스에 따르면 파키스탄 외교부 전략수출통제국은 지난 6월 미국 재무부가 대북 독자제재 대상으로 지정한 개인과 단체에 대해 자국 기업이나 자국민과 거래도 금지하기로 하고 이같은 내용을 통상부, 금융감독원, 국세청 등에 통보했다.

이에 따라 파키스탄 국세청은 수도 이슬라마바드를 비롯해 카라치, 라호르 등 세관에 이번 거래 금지에 필요한 조치를 하라고 명령했다.

거래가 제한된 대상은 베이징 북한 고려은행 대표인 리성혁 등 북한인과 조선대령강무역회사와 송이무역회사 등 북한 기업, 아르디스-베어링스, 인디펜던트 페트롤리엄 등 북한 미사일 부품 공급과 관련된 러시아 기업, 이고리 미추린 등 러시아인이 포함됐다.

북한 최고 헌법기관인 인민군, 인민무력성, 국무위원회도 제재 대상에 포함됐다.

미국 재무부는 지난 6월 이들 개인과 기관에 대해 미국 내 자산을 동결하고 미국인과 미국 기업과의 거래를 금지하는 독자제재 방안을 발표한 바 있다.

파키스탄은 지난해 유엔 안보리 대북제재결의 2270호를 자국법에 편입시키는 한편, 이에 따라 종전에 북한 고려항공이 중간 급유를 위해 이슬라마바드 공항에 입항하던 것을 허용하지 않는 등 최근 적극적으로 안보리 대북 제재에 동참해 왔다.

하지만 과거 북한으로부터 미사일 기술을 이전받고 핵 기술을 전수했다는 의심을 받을 정도로 북한과 가까운 것으로 평가된 파키스탄이 유엔 안보리 수준을 넘어서 독자제재까지 하기로 한 것은 미국과의 관계 강화를 위한 것이라는 해석이 나온다.

파키스탄 외교가의 한 소식통은 최근 파키스탄을 방문했던 미국 상원 대표단이 파키스탄의 소극적 테러 대응에 실망을 나타낸 데다 미국 정부가 아프간 국경지대 테러단체 소탕을 위해 파키스탄에 제공하던 지원금도 줄이려 하자 파키스탄 정부가 미국과의 관계 강화 카드로 최근 도널드 트럼프 정부가 관심을 두는 북한 제재에 적극적인 모습을 보이는 것으로 풀이했다.

rao@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실시간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