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력계획 자문그룹 "신재생 확대는 굉장히 어려운 3차 방정식"
전원구성 워킹그룹 위원장 "경제성·온실감스 감축 등 고민"
(서울=연합뉴스) 김동현 기자 = "지금까지는 전원구성이 단순한 1차 방정식이었다면 이번에는 굉장히 어려운 3차 방정식이다."
'전원구성 워킹그룹' 위원장인 조영탁 한밭대학교 경제학과 교수는 26일 정부 정책대로 원전을 줄이고 신재생에너지 발전 비중을 확대하는 데 따르는 고민을 토로했다.
26일 한국신재생에너지학회와 한국자원경제학회가 서울 코엑스에서 주최한 '친환경 전력공급체계 구현을 위한 세미나'에서다.
전원구성 워킹그룹은 제8차 전력수급기본계획(2017~2031년) 작성에 참여하는 민간 자문가 그룹 중 하나로 각 발전 수단의 비중을 구성하는 역할을 한다.
조 교수는 "환경과 안전, 경제성을 고려한 믹스(mix)로 가면서 온실가스 감축을 달성하고 계통 안정성과 송전 문제도 해결해야 하는 세 가지 딜레마가 있다"고 밝혔다.
조 교수는 "그동안 경제성을 중심으로 전원구성을 했는데 최근 사회적 분위기와 국민 요구는 환경과 안전을 고려한 믹스로 하자는 것"이라면서 "환경과 안전을 반영하되 그렇다고 경제성을 완전히 뺄 수는 없다"고 말했다.
그는 "두 번째로 충족해야 하는 게 온실가스 감축목표(NDC)"라며 "온실가스를 감축하려면 원전이나 신재생을 늘리면 되는데 그 비율을 어떻게 할 것이냐가 고민"이라고 밝혔다.
원전은 석탄이나 액화천연가스(LNG) 발전보다 이산화탄소 배출이 적기 때문에 원자력계에서는 탈원전 정책의 부작용으로 온실가스 문제를 제기해왔다.
그는 "원전은 2031년까지 수명이 도래하는 것들이 있는데 온실가스 부분도 충족해야 하기 때문에 이런 부분에서 최대한 공약을 반영하면서 융통성의 여지가 있는지 고민해야 한다"고 말했다.
이어 "신재생이 늘어나면 가스터빈발전의 백업 역할이 중요해지고 발전량이 이전보다 늘 가능성이 크다"며 "이 경우 가스 물량과 수입 가격이 문제가 되는데 부담을 적게 주는 방식으로 가스를 도입하는 게 쟁점"이라고 밝혔다.
조 교수는 "가장 큰 고민은 전력 계통"이라며 "신재생을 20%로 늘렸을 때 계통에서 기술적으로 수용할 수 있는지, 그리고 비용이 얼마나 들지 경제적 수용성의 문제가 있다"고 강조했다.
또 "신재생을 20%까지 하면 발전소를 대규모로 개발할 가능성이 작지 않은데 원전이나 석탄화력발전소를 지방에 건설하고 수도권으로 전력을 끌고 올 때 생기는 송전 문제가 신재생에서도 발생할 가능성이 있다"고 지적했다.
다만 그는 아직 전원구성의 전제가 되는 수요 전망과 수요관리 방식, 설비예비율 등이 정해지지 않았기 때문에 아직 전원구성에 대해 예단할 수는 없다고 설명했다.
bluekey@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