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스피

2,784.06

  • 7.99
  • 0.29%
코스닥

838.65

  • 3.47
  • 0.41%
1/2

'꽃게 풍년인가…' 올해 연평도 어획량 작년보다 4배↑

페이스북 노출 0

핀(구독)!


뉴스 듣기-

지금 보시는 뉴스를 읽어드립니다.

이동 통신망을 이용하여 음성을 재생하면 별도의 데이터 통화료가 부과될 수 있습니다.

'꽃게 풍년인가…' 올해 연평도 어획량 작년보다 4배↑

주요 기사

글자 크기 설정

번역-

G언어 선택

  • 한국어
  • 영어
  • 일본어
  • 중국어(간체)
  • 중국어(번체)
  • 베트남어
'꽃게 풍년인가…' 올해 연평도 어획량 작년보다 4배↑

어획고 70% 이상 증가…작년 봄 최악 어획량 기록한 탓




(인천=연합뉴스) 손현규 기자 = 인천 연평도 어장의 올해 봄어기(4∼6월) 꽃게 어획량이 작년과 비교해 4배가량 급증한 것으로 나타났다.

25일 인천시 옹진군에 따르면 올해 봄어기 연평도 꽃게 어획량은 62만364kg으로 지난해 봄어기(15만7천800㎏)보다 393% 늘었다.

올해 같은 기간 어획고도 68억3천700만원으로 지난해 봄어기(38억6천600만원)에 비해 76% 증가했다.

어획량을 월별로 보면 올해 4월과 5월은 작년 대비 2∼3배 증가하다가 6월에는 지난해 같은 달(10만6천200㎏)보다 477% 급증한 50만6천851㎏을 기록했다.

올해 봄어기 어획량이 유난히 증가한 것이 아니라, 지난해 어획량이 사상 최대로 부진했던 탓이다.

실제로 올해 봄어기 어획량은 2015년 같은 기간(43만5천524㎏)보다는 많았지만, 2014년(71만6천876㎏)에 비해 적은 수준이다.

전문가들은 지난해보다 올해 봄어기의 꽃게 유생 분포와 수온 등이 적절해 어획량이 늘어난 것으로 풀이했다.




올해 4월 서해 5도 특별경비단을 창설한 이후 중국어선이 급감한 것도 어획량 증가에 영향을 미친 것으로 분석됐다.

해양경비안전본부에 따르면 올 상반기 우리 해역을 불법 침범한 중국어선 수는 작년 같은 기간보다 78% 줄었다. 연평도 주변 해역에서는 4월 11일부터 중국어선 수가 크게 줄어 5월부터는 아예 조업하지 않았다.

문제는 올해 가을어기(9∼11월)에 연평도 꽃게 어획량이 얼마나 될 지다.

2012년 이후 4년간 가을어기 꽃게 어획량은 66만∼88만㎏이었지만, 지난해 가을어기에는 120만7천25㎏으로 많이 증가했다.

올해 가을어기에도 지난해 수준을 유지한다면 최근 5년 중 연간 어획량이 가장 많았던 2012년 189만1천478㎏을 추월할 가능성도 있다.

손명호 서해수산연구소 연구관은 "올해 가을어기도 2015년 가을어기 어획량인 75만㎏과 비슷하거나 오히려 많을 것으로 예상한다"면서도 "많은 어획량을 기록한 작년 가을어기 수준이 될지는 지켜봐야 한다"고 말했다.

한때 서해의 꽃게 대표 산지로 유명했던 연평어장의 어획량은 2009년 이후 5년째 감소 추세였다가 2014년 이후 100만㎏가량을 유지하고 있다.

매년 인천 전체 꽃게 어획량의 25%가량을 차지하는 연평어장(764㎢)에서는 산란기 꽃게를 보호하기 위해 4∼6월과 9∼11월에만 조업이 허용된다.

son@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실시간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