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스피

2,656.33

  • 27.71
  • 1.05%
코스닥

856.82

  • 3.56
  • 0.42%
1/4

'포스트 차이나'로 뜨는 할랄식품시장…수출확대는 산넘어 산

페이스북 노출 0

핀(구독)!


뉴스 듣기-

지금 보시는 뉴스를 읽어드립니다.

이동 통신망을 이용하여 음성을 재생하면 별도의 데이터 통화료가 부과될 수 있습니다.

'포스트 차이나'로 뜨는 할랄식품시장…수출확대는 산넘어 산

주요 기사

글자 크기 설정

번역-

G언어 선택

  • 한국어
  • 영어
  • 일본어
  • 중국어(간체)
  • 중국어(번체)
  • 베트남어
'포스트 차이나'로 뜨는 할랄식품시장…수출확대는 산넘어 산

(서울=연합뉴스) 정빛나 기자 = 중국의 사드 보복으로 농식품 수출 피해가 가시화되면서 할랄 식품 시장이 다시 '블루오션'으로 주목받고 있다.

정부는 수출 시장 다변화를 목표로 올해 할랄 시장 공략을 본격화한다는 계획이지만, 아직 시장 인지도가 낮고 수출 인증 절차가 까다로운 점 등 넘어야 할 산도 만만치 않다.

29일 농림축산식품부에 따르면 할랄 식품 시장은 이슬람 인구 18억 명 규모의 거대 식품시장으로, 오는 2020년까지 1조 6천억 달러 규모로 성장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할랄이란 이슬람교도가 먹거나 사용할 수 있도록 이슬람 율법에 따라 처리·가공된 제품을 의미한다. 완성품만 아니라 처리와 가공, 유통까지 전 과정에 걸쳐서 이슬람 율법에 어긋나지 않았다는 관련 공식 기관의 인증을 획득해야 수출이 가능하다.

또 기존의 할랄 식품 시장은 비무슬림 다국적기업이 장악하고 있어 우리 농식품 수출업체에도 얼마든지 '문'은 열려 있다는 것이 전문가들의 분석이다.

특히 이달 초부터 중국의 사드 보복이 노골화하면서 중요성이 커지고 있는 농식품 수출 다변화 측면에서도 할랄 시장은 중요한 시장으로 꼽히고 있다.

실제로 농식품의 경우 일본, 중국, 미국 등 3개 국가가 수출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2016년 기준으로 절반에 가까운 45%에 달한다. 중국은 일본에 이어 두 번째로 수출 의존도가 높다.

하지만 이달 중순 김재수 농식품부 장관이 주재한 대중국 농식품 수출업체 현장 간담회에서는 대부분 업체가 사드 장비가 일부가 도입된 지난 7일 이후 온·오프라인에서 한국산 농식품 제품이 철수 당하는 등 피해가 현실화하고 있다고 주장했다. 전월 대비 매출이 80~90%까지 하락했다는 업체도 있었다.

이 때문에 중국에 버금가는 대규모 시장인 데다, 수요층이 확실한 할랄 식품 시장에 자리를 잘 잡기만 하면 농식품 수출의 '돌파구'가 될 것으로 정부는 내다보고 있다.






일단 이슬람 국가로의 수출 비중만 놓고 보면 출발은 나쁘지 않다.

농식품부에 따르면 지난해 이슬람협력기구(OIC : Organization of the Islamic Conference) 소속 57개국으로의 농식품 수출 총액은 9억1천300만 달러로, 전년 대비 8.8% 증가했다. 전체 수출액의 14% 정도다.

여기에 이슬람교도가 대부분인 베트남, 인도네시아 등 동남아국가로의 수출액까지 포함하면 비중은 더 커질 것으로 보인다.

올해 들어서도 1~2월 걸프협력회의(GCC)로의 수출이 줄었으나 이슬람국가로의 전체 수출액은 작년 동기 대비 1.5% 증가했고, 아세안(ASEAN)으로의 수출 역시 13.3% 급증했다.

그러나 문제는 이들 국가로 수출되는 제품 상당수가 국내 농가소득과 직접적인 연관이 없는 커피 조제품, 담배 등 가공식품 위주라는 점이다.

이슬람 국가로의 수출 실적만 집계될 뿐, 실제로 할랄 인증을 받아 수출되는 할랄 식품 수출 규모가 얼마나 되는지는 통계 자체가 없다는 점도 한계로 지적된다.

농식품 수출업체 입장에서 할랄 인증을 받기 쉽지 않다는 점도 넘어야 할 산이다.

국내 유일의 할랄 인증 기관은 한국이슬람교중앙회(KMF)인데, KMF 인증의 경우 말레이시아와 싱가포르에서만 효력이 있다.그 외 이슬람국가로 수출을 원할 경우 현지 인증을 받아야 하는데, 시간과 비용 측면에서 국가별 인증을 받는 것이 현실적으로 불가능하다.

이에 농식품부는 올해 국내 할랄 인증이 해외에서 더 통용될 수 있도록 이슬람 주요 국가와 '교차 인증' 협약을 확대한다는 방침이다.

아울러 국산 할랄 인증 제품 전용 판매 플랫폼을 구축하고, 수출지원센터를 통해 유망 상품을 적극적으로 발굴할 계획이다.

농식품부 관계자는 "기존 수출 시장인 중국, 일본 등은 (정치·외교) 상황 변동에 따라서 직접적인 영향이 있어 수출 다변화는 꼭 필요하다"며 "올해 4분기를 목표로 가장 큰 할랄식품 시장인 인도네시아와 아랍에미리트(UAE)와의 교차 인증을 추진하고, 현지에서의 연중 마케팅을 강화하는 등 공격적으로 수출확대에 나설 계획"이라고 말했다.

shine@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실시간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