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스피

2,583.27

  • 2.24
  • 0.09%
코스닥

727.41

  • 7.18
  • 0.98%
1/3

"윷 나와라~ 다 잡았네" 포복절도 윷놀이 알고하면 더 신나

페이스북 노출 0

핀(구독)!


글자 크기 설정

번역-

G언어 선택

  • 한국어
  • 영어
  • 일본어
  • 중국어(간체)
  • 중국어(번체)
  • 베트남어
"윷 나와라~ 다 잡았네" 포복절도 윷놀이 알고하면 더 신나

말을 쓰는 기술이 승부 갈라…'백 도', '낙' 나올 때 희비 교차

도·개·걸·윷·모는 돼지·개·양·소·말 상징…"가축 크기·빠르기 순"

(청주=연합뉴스) 박재천 기자 = 설 명절이면 어김없이 등장하는 윷놀이.

가족끼리 편을 갈라 윷가락을 던지며 동네가 떠나가라 "윷이야~ 모야~"를 외치는 모습은 정겹기 그지없다.






잡고 잡히면서 앞서거니 뒤서거니 하는 긴장감 속에 어느 한 팀의 윷말 4개가 모두 최종점을 빠져나오면 승부가 가려지는 윷판은 언제나 환호성과 탄식의 연속이다.

윷놀이의 가장 큰 매력은 남녀노소 누구나 쉽게 즐길 수 있다는 점이다. '국민 민속놀이'로 불리는 이유다.

준비는 윷만 있으면 사실상 끝이다. 윷판은 달력 크기의 종이를 이용해 만들면 되고, 동전이나 바둑알, 단추를 말로 사용하면 된다.

준비물이 단순하다고 게임 자체가 단순한 것은 아니다. 말을 쓰는 기술이 승부와 직결되는 만큼 치열한 두뇌 싸움이 벌어진다. 말을 묶어서 이동시킬지 따로 이동시킬지, 지름길로 갈지 돌아갈지를 놓고 같은 편끼리도 입씨름을 벌이기 일쑤다.

윷이나 모가 나오면 '보너스'로 한 번 더 던질 수 있는데 이럴 땐 자신도 모르게 흥분해 목소리가 커진다.

말 운용을 기가 막히게 했거나 연신 윷·모를 던진 덕분에 한꺼번에 움직였던 상대의 4개 동을 최종점 진입 직전에 극적으로 잡으면 환호성을 지르고 포복절도하기 마련이다. 승리를 확신했던 상대는 당연히 아연실색한다.

야심 차게 던진 윷짝이 미리 정해 놓은 구역 밖으로 떨어져 일명 '낙'이 됐을 때도 탄식과 폭소가 교차한다.

언제부터인가 윷 4개 중 하나에 특정 표시를 해 만든 '백(back) 도'가 등장해 흥미를 더한다. 백 도가 나오면 말을 한 칸 뒤로 움직여야 한다. 겨우 출발 지점의 첫 칸에 있던 말이 백 도로 최종점에 머물렀다가 다음 차례에 나가는 횡재도 경험할 수 있다.

윷판이 후끈 달아오르면 윷을 제 높이로 던졌는지 혹은 엎어지거나 젖혀진 상태가 불분명한 모양을 어떤 윷패(도·개·걸·윷·모)로 결정할지를 놓고 언성이 높아지기도 한다.

정리하면 윷놀이는 편을 가른 뒤 교대로 윷을 던지고 말을 써서 먼저 4동이 나면 승부가 결정되는 게임이다.




도는 한 칸을, 개는 두 칸을, 걸은 세 칸을, 윷은 네 칸을, 모는 다섯 칸을 이동하는 것은 누구나 아는 상식이다.

윷 말이 움직이는 근거는 뭘까.

국립민속박물관의 한국민속대백과사전은 가축의 걸음걸이에서 찾는다. 도는 돼지, 개는 개, 걸은 양, 윷은 소, 모는 말을 상징하고 있다. 즉 이들 가축의 크기와 빠르기에 따라 윷패의 칸 수가 결정됐다는 것이다.

최종점을 '참먹이'라고 하고, 한 번 더 던질 수 있는 모나 윷을 가리켜 '사리'라고 하는 것도 생소하다.

윷놀이는 부여의 관직명인 저가(猪加)·구가(狗加)·우가(牛加)·마가(馬加)·대사(大使)에서 유래됐다는 설이 유력하다고 한다.

전통문화 전문가들은 우리 고유의 민속놀이인 윷놀이가 세계로 전파돼 또 하나의 한류로 자리 잡기를 바라고 있다.

jcpark@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 염색되는 샴푸, 대나무수 화장품 뜬다

실시간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