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스피

2,705.32

  • 4.15
  • 0.15%
코스닥

868.36

  • 3.65
  • 0.42%
1/2

환각 다이어트식품 등 불법유해식품 수입 9천건 적발…3.2배↑

페이스북 노출 0

핀(구독)!


뉴스 듣기-

지금 보시는 뉴스를 읽어드립니다.

이동 통신망을 이용하여 음성을 재생하면 별도의 데이터 통화료가 부과될 수 있습니다.

환각 다이어트식품 등 불법유해식품 수입 9천건 적발…3.2배↑

주요 기사

글자 크기 설정

번역-

G언어 선택

  • 한국어
  • 영어
  • 일본어
  • 중국어(간체)
  • 중국어(번체)
  • 베트남어
환각 다이어트식품 등 불법유해식품 수입 9천건 적발…3.2배↑

관세청, 불법 수입물품 적발 9만건 육박

(세종=연합뉴스) 김수현 기자 = 지난해 가격신고·원산지 표시 등을 어기고 수입된 물품이 9만건에 육박한 것으로 나타났다.

25일 관세청에 따르면 지난해 불법 수입물품은 총 8만9천336건으로 1년 전보다 8% 증가했다.

품목별로는 건강기능 식품이 22%로 비중이 가장 컸고 의류 13%, 완구 11%, 식료품 5% 순이었다.

특히 불법 유해 식품은 2천867건에서 9천33건으로 3.2배 급격히 증가했다.

관세청 관계자는 "최근 먹거리에 대한 국민의 관심이 커지면서 식품류를 집중적으로 검사했다"며 "환각 증상이나 복통을 유발하는 다이어트 식품, 성 기능 개선제, 운동보조식품 등이 주로 적발됐다"고 설명했다.

불법 수입물품은 중국(38%)과 미국(24%)에서 많이 들어온 것으로 나타났다.

중국에선 의류, 농수산물, 생활잡화 등을 중심으로 저가 신고, 원산지표시 위반, 지식재산권 침해가 주로 적발됐다.

미국에선 해외 직구로 사는 건강기능식품, 화장품, 식료품 등이 주로 적발됐다. 식용에 사용할 수 없는 유해성분이 함유된 물품인 경우가 많았다.

적발 유형별로 보면 세금을 덜 낼 목적으로 과세가격을 누락하거나 저가로 신고한 가격신고 위반이 25%(2만2천300건)로 가장 많았다.

면세·감면 대상이 아닌데도 부정 감면을 받다가 적발된 건수는 16%(1만4천363건), 들여오면 안 되는 마약류, 유해식품, 총포·도검류를 반입한 수입요건 위반은 14%(1만3천262건)를 차지했다.

관세청은 가격신고 위반과 부정 감면으로 각각 34건, 3건을 고발 의뢰하고 26억원, 11억원을 징수했다.

관세청 관계자는 "앞으로도 불법 수입물품의 국내 반입을 차단하고자 불량 먹거리, 저가 신고, 원산지표시 위반 등 검사를 더욱 강화하겠다"며 "성실 신고 업체에 대해서는 전자통관심사, 검사생략 확대 등 신속통관을 지원해 나갈 것"이라고 밝혔다.

porque@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실시간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