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챗GPT 개발사인 오픈AI가 소셜미디어(SNS) 플랫폼을 개발 중이라고 정보기술(IT) 전문 매체 더버지가 15일(현지시간) 보도했다.
오픈AI CEO인 샘 올트먼이 일론 머스크 테슬라 최고경영자(CEO)와 앙숙 관계로 소송전을 불사하는 가운데 머스크의 엑스(X·옛 트위터)와 SNS 업계에서 경쟁할 수도 있다는 것이다.
보도에 따르면 오픈AI는 챗GPT의 이미지 생성 기능을 중심으로 이미지를 공유하고 소통할 수 있는 SNS 기능을 갖춘 플랫폼을 내부적으로 시험하고 있다.
소식통은 오픈AI 최고경영자(CEO) 샘 올트먼이 이 프로젝트에 대해 외부 인사들을 대상으로 비공개 피드백을 요청했다고 전했다.
이 프로젝트는 아직 초기 단계라 오픈AI가 이를 별도의 앱으로 출시할지 챗GPT에 통합할지 정해지지 않았다. 이 플랫폼의 구체적인 기능에 대해서도 알려지지 않았다.
오픈AI가 SNS 개발에 나선 것은 올트먼과 크게 격돌한 머스크를 겨냥한 것이라는 분석이 나온다.
머스크는 지난해 오픈AI가 비영리 단체로 운영하겠다는 약속을 위반했다며 영리 법인 전환을 막아달라고 오픈AI와 올트먼을 상대로 소송을 제기했다.
지난 2월에는 오픈AI의 지배지분을 자신이 이끄는 투자자 컨소시엄을 통해 974억 달러에 인수하겠다고 제안하기도 했다. 이는 오픈AI가 최근 평가받은 기업가치 3천억 달러의 3분의 1도 안된다.
이에 오픈AI는 급기야 지난 9일 "오픈AI를 해치기 위해 가능한 모든 수단을 동원하고 있다"며 머스크의 불법적이고 부당한 행위를 중단시켜 달라는 소송을 제기했다.
오픈AI의 SNS 플랫폼은 또 페이스북과 인스타그램 등을 보유한 메타플랫폼(이하 메타)과 경쟁할 수도 있다.
지난 2월 메타가 챗GPT의 대항마인 인공지능(AI) 모델 메타 AI 앱을 개발 중인 것으로 알려지자, 올트먼은 엑스에 "그래, 좋아. 우리도 소셜 앱 만들지 뭐"라고 적기도 했다.
오픈AI가 SNS 플랫폼을 보유하게 되면 자사의 AI 모델을 훈련할 데이터를 확보할 수 있게 된다.
머스크의 AI 챗봇 그록은 엑스의 콘텐츠를 반영하고 있고, 메타 역시 라마(LLaMA) 모델을 자사의 방대한 사용자 데이터를 기반으로 훈련하고 있다.
(사진=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