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스피

2,494.46

  • 12.34
  • 0.50%
코스닥

693.73

  • 10.38
  • 1.52%
1/4

집값 내리고 주식 올랐다…1인당 가계순자산 1.6%↑

페이스북 노출 0

핀(구독)!


글자 크기 설정

번역-

G언어 선택

  • 한국어
  • 영어
  • 일본어
  • 중국어(간체)
  • 중국어(번체)
  • 베트남어


지난해 우리나라의 가구당 순자산이 약 2%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한은과 통계청이 18일 발표한 '2023년 국민대차대조표(잠정)'에 따르면, 작년 말 기준 1인당 가계 순자산은 2억4천427만원으로 추정됐다. 2022년 말(2억4천39만원)과 비교하면 1.6% 많다.

국민대차대조표 통계에서는 가계 부문만을 따로 추계하지 않기 때문에 이 추정액은 '가계 및 비영리단체' 전체 순자산(1경2천632조원)을 추계 인구(약 5천171만명)로 나눈 값이다.

시장환율(2023년 중 1천306원/달러)로 환산한 1인당 가계 순자산은 18만7천달러로, 미국(46만5천달러)·오스트레일리아(39만3천달러)·캐나다(28만2천달러)·프랑스(23만달러)·독일(22만4천달러)·영국(21만3천달러)보다 적지만 일본(18만3천달러)보다는 많았다.

구매력평가환율(2023년 중 933원/달러) 기준으로는 한국(26만2천달러)이 일본(22만9천달러)뿐 아니라 영국(23만7천달러)도 앞섰다는 게 한은의 설명이다. 미국(46만5천달러)·오스트레일리아(39만3천달러)·캐나다(29만8천달러)·프랑스(29만6천달러)·독일(29만3천달러)은 우리나라를 웃돌았다.

다만 오스트레일리아·캐나다·프랑스·독일·일본의 순자산과 환율은 2022년 말 기준으로, 직접 비교에 다소 무리가 있다.

가계 및 비영리단체의 전체 순자산(1경2천632조원)은 전년보다 1.7%(210조원) 불었다.

집값 하락에 따라 2.3%(-147조원) 줄어든 주택자산을 중심으로 비금융자산이 0.4%(-38조원) 감소했지만, 주가 반등 등에 힘입어 금융자산은 4.7%(+233조원) 늘었다.

가계 및 비영리단체 순자산의 구성 비중을 ·보면, 작년 말 현재 ▲ 주택 50.3% ▲ 주택 이외 부동산 25.2% ▲ 현금·예금 19.1% ▲ 보험·연금 11.5% 순이었다.

부동산 경기 부진과 함께 주택을 포함한 부동산의 비중이 2022년 77.1%에서 지난해 75.5%로 떨어졌다.

모든 경제 주체들이 보유한 국민순자산은 2경3천39조원으로, 전년보다 2.1%(472조원) 증가했다.

하지만 증가 폭은 2022년(3.1%·688조원)과 비교해 크게 줄었다. 국민순자산 증가율이 낮아지면서 작년 말 기준 명목 국내총생산(GDP·2천401조원) 대비 배율(9.6배)이 2022년(9.7배)보다 떨어졌다.

김민수 한은 국민B/S팀장은 국민순자산 증가세 둔화의 배경에 대해 "비금융자산 가운데 토지 자산이 38조원 감소한 데다, 순금융자산의 증가 폭도 1년 사이 202조원에서 30조원으로 급감했기 때문"이라며 "특히 국내외 주가 상승과 환율 변동이 거주자의 평가이익(대외금융자산)보다 비거주자의 평가이익(대외금융부채)에 더 큰 영향을 미치면서 거래 외 금융자산 증감이 마이너스(-)를 기록했다"고 설명했다.

부동산(토지+건물) 자산은 1년 전보다 1.2%(207조원) 많은 1경6천841조원으로 집계됐다.

주택가격 하락의 영향으로 주택시가총액(6천839조원)은 1.7%(-118조원) 뒷걸음쳤고, 이에 따라 GDP 대비 배율도 1년 사이 3.0배에서 2.8배로 낮아졌다.

한은이 이날 공개한 국민 대차대조표는 기준연도를 2015년에서 2020년으로 바꾼 결과다.

개편에 따라 2020년 말 국민순자산(1경8천882조원)이 기존 시계열보다 5.3%(942조원) 늘었고, 2008∼2022년 국민순자산도 연평균 4.2% 증가했다. 주거용 건물과 부속 토지를 각각 산출하던 방식을 바꿔 이번 개편부터 주택자산의 가치를 일괄 평가하면서 주거용건물 부속 토지 금액이 상향 조정된 데 가장 큰 영향을 받았다는 게 한은의 설명이다.

(사진=연합뉴스)
- 염색되는 샴푸, 대나무수 화장품 뜬다
한국경제TV  디지털뉴스부  김현경  기자
 khkkim@wowtv.co.kr

실시간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