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달 은행권 가계대출이 또 증가했다. 정부의 규제 강화와 은행들의 금리 인상이 아직 효과를 발휘하지 못하고 것으로 보인다.
한국은행이 8일 발표한 ‘금융시장 동향’에 따르면 10월 말 기준 예금은행의 가계대출(정책모기지론 포함) 잔액은 1086조 6천억 원으로 한 달 전보다 6조 8천억 원 많았다.
은행권 가계대출은 지난 4월부터 7개월 연속 증가세다. 지난 8월 6조 9천억 원에서 9월 4조 8천억 원으로 증가폭이 축소됐지만, 10월 들어 다시 증가폭이 커졌다.
10월 가계대출 중 전세자금대출을 포함한 주택담보대출은 5조 8천억 원 늘었다.
윤옥자 한은 시장총괄팀 차장은 “8월까지는 전국 아파트 매매거래량이 3만 7천호로 많은 편이었기 때문에 시차를 두고 10월 주담대 수요로 이어진 영향이 있었다”며 “증가폭 자체는 둔화양상을 보이고 있다”고 설명했다.
신용대출 등 기타대출도 1조원 증가했다. 윤 차장은 “추석 상여금이 개인 계좌로 많이 유입된 효과로 감소했던 신용대출이 월초 연휴 소비자금과 공모주 청약 관련 자금수요 등으로 늘어나면서 증가세로 전환했다”고 분석했다.
정부 대출 규제로 주담대가 신용대출 등 기타대출로 옮겨가는 ‘풍선효과’가 나타난 것 아니냐는 지적도 나왔다.
이에 윤 차장은 “2021년과 2022년 10월에 비해 올해 10월 높아보이긴 하지만 그 이전 10월과 비교했을 때 많은 수준은 아니다”라며 “총부채원리금상환비율(DSR) 규제 때문에 주담대보다 신용대출이 유리한 상황이 아니기 때문에 주담대 관리강화 기조에 대한 풍선효과는 일단 크지 않다고 본다”고 설명했다.
한은을 비롯해 금융당국에서는 가계부채 관리를 강조하는 가운데 향후 대출 증가폭이 둔화될 수 있다고 전망이 나온다.
윤 차장은 “주담대가 8월을 정점으로 둔화되는 모습이 보이고 있고, 아직까지는 정부에서 규제 강화하기 전에 신청한 대출들이 실행되고 있기 때문에 가시적으로 효과가 확 두드러지진 않은 모습이지만 2~3개월 시차 두고 정부 정책이 가계대출에 효과를 나타낼 것”이라고 내다봤다.
신용대출도 11월과 12월에 증가폭이 둔화되거나 감소 전환할 것으로 전망했다.
윤 차장은 “정부가 50년만기 주담대 산정만기를 40년으로 조정하고, DSR 규제를 적용받지 않는 특례보금자리론 일반형 공급을 중단한 효과가 시차를 두고 나타날 것”이라며 “계절적으로 신용대출은 연말 연초에 가계 쪽으로 상여가 많이 유입되면 감소하거나 늘지 않을 것”으로 봤다.
기업대출도 대기업대출을 중심으로 증가세를 이어가고 있다. 10월 말 기업대출 잔액은 1246조 4천억 원으로 집계됐다.
특히 대기업대출이 4조 3천억 원 늘어 역대 10월중 두 번째로 가장 큰 폭 증가했다. 회사채 등으로 자금을 조달하던 기업들의 대출 활용이 늘어난 데다 기업 운전자금 수요가 늘어난 영향이다.
중소기업대출은 10월중 3조 8천억 원 늘어 10월말 잔액은 998조 원으로 집계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