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스피

2,792.05

  • 17.66
  • 0.64%
코스닥

842.12

  • 0.13
  • 0.02%
1/3

의사 적은 한국…전문의 소득 OECD 최상위권

페이스북 노출 0

핀(구독)!


뉴스 듣기-

지금 보시는 뉴스를 읽어드립니다.

이동 통신망을 이용하여 음성을 재생하면 별도의 데이터 통화료가 부과될 수 있습니다.

의사 적은 한국…전문의 소득 OECD 최상위권

주요 기사

글자 크기 설정

번역-

G언어 선택

  • 한국어
  • 영어
  • 일본어
  • 중국어(간체)
  • 중국어(번체)
  • 베트남어


한국의 의사 소득이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국가 중 최상위권인 것으로 나타났다.

30일 OECD의 '2023년 보건통계(Health Statistics 2023)'에 따르면, 우리나라 전문의 중 병·의원에 소속돼 월급을 받는 봉직의의 연간 임금소득은 2020년 기준 19만2천749달러(약 2억4천600만원)로, 관련 통계를 제출한 OECD 회원국 28개국 중 가장 많았다.

각국의 물가 차이를 반영한 구매력평가(PPP) 환율을 기준으로 한 금액이어서, 실제 금액과는 차이가 있다.

한국 다음으로 네덜란드, 독일, 아일랜드, 영국 순으로 봉직의 소득이 높았다.

개원의의 경우 통계가 확보된 회원국이 적어 9개국(한국, 벨기에, 캐나다, 이스라엘, 호주, 네덜란드, 스위스, 오스트리아, 독일)만 비교가 가능한데 우리나라 개원의의 소득이 29만8천800달러(2020년)로, 벨기에 33만7천931달러(2021년) 다음으로 많았다.

OECD는 회원국의 보건통계를 매년 제공받아 검토 후 누리집에 공개하며, 2023년 통계는 지난 3일 발표됐다. 대체로 2021년 수치가 기준이다.

다만 의사 소득의 경우 우리나라는 올해 업데이트된 수치를 제공하지 않아 지난해 제출한 2020년 수치가 가장 최신 자료다.

작년 7월 발표된 보건의료인력 실태조사에선 2020년 기준 우리나라 봉직의 평균 소득이 1억8천539만원, 개원의는 2억9천428만원으로 조사됐다.

이같은 우리나라 의사 소득 자료가 처음 반영된 OECD 2022년 보건통계에선 한국 전문의 소득이 봉직의·개원의 모두 OECD 1위를 기록한 바 있다.

올해 통계에서 한국의 2020년 수치를 다른 회원국들의 2021년 또는 2022년 수치와 비교해서도 봉직의 소득은 한국이 가장 많고, 개원의는 2위를 기록한 것이다. 다만 미국, 일본 등 일부 회원국은 데이터가 없어 OECD 통계에서 빠졌다.

2023년 보건통계 기준 28개국 봉직의 평균 임금소득은 11만8천667달러로 우리나라의 60% 수준이다.

봉직의 임금소득의 1인당 국내총생산(GDP) 대비 배율을 보면 우리나라가 5.06배(2020년)로, 28개 회원국 중 칠레(2022년 5.12배) 다음으로 높았다. 개원의는 7.84배로 비교 대상 9개국 중 가장 높다.

이처럼 한국의 의사 소득 수준이 선진국이 많은 OECD 내에서도 최상위권인 데에는 의료 이용량은 OECD 내에서 가장 많은 수준인데, 의사 수는 적은 현실과 무관하지 않다.

복지부가 OECD 올해 보건통계를 분석한 자료에 따르면 우리나라의 1인당 병원 외래진료 횟수는 연간 15.7회로 회원국 중 가장 많았다.인구 1천 명당 임상의사 수는 2.6명으로 멕시코(2.5명) 다음으로 적었다.

(사진=연합뉴스)
한국경제TV  디지털뉴스부  김현경  기자
 khkkim@wowtv.co.kr

실시간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