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2분기 우리나라 실질 국내총생산(GDP)이 0.6% 성장한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해 4분기 2년 반 만에 마이너스를 기록했던 경제성장률은 1분기에 이어 2분기에도 플러스 성장을 이어갔다.
하지만 소비와 투자가 모두 감소한 상황에서, 수출보다 수입이 더 크게 줄어 순수출이 늘어난 덕분에 나타난 '불황형 성장'이라는 지적이 나온다.
한국은행은 25일 올해 2분기 실질 국내총생산(GDP) 성장률(속보치·전분기 대비)이 0.6%로 집계됐다고 발표했다.
수출 급감과 함께 직전 분기인 지난해 4분기(-0.3%) 다시 마이너스로 돌아선 이후 민간소비 덕에 올해 1분기(0.3%) 반등한 뒤 이번에도 0.6% 성장하면서 두 분기 연속 역성장을 피했다.
2분기 성장률을 부문별로 보면 민간소비가 음식·숙박 등 서비스를 중심으로 0.1% 줄었다. 정부소비도 건강보험급여 등 사회보장 현물 수혜 위주로 1.9% 줄었다.
건설투자와 설비투자도 각 토목건설과 운송장비 부진으로 0.3%, 0.2%씩 뒷걸음쳤다.
이처럼 민간·정부 소비와 투자가 모두 줄었는데도 실질 GDP가 0.6% 성장한 것은 1분기에 비해 순수출이 늘어난 영향이다.
실질GDP는 크게 보면 민간소비·정부소비·투자·순수출의 합인데, 1분기와 비교해 수출보다 수입 감소 폭이 더 커 순수출이 늘면서 플러스 성장이 가능했던 것이다.
2분기 수출은 반도체·자동차 등이 늘었지만 석유제품·운수서비스 등이 줄어 1.8% 축소됐다. 수입의 경우 원유·천연가스 등을 중심으로 4.2%나 감소했다.
이에 따라 2분기 성장률에 대한 항목별 기여도 분석에서도 순수출(1.3%p)만 플러스를 기록했다. 1.3%포인트 만큼 순수출이 2분기 성장률을 홀로 끌어올렸다는 의미다.
반대로 민간소비, 정부소비, 건설투자는 성장률을 각 0.1%p, 0.4%p, 0.1%p 끌어내렸다.
다만 한은은 우리나라 경제 상황이 불황이라기 보단 부진에서 완화되는 모습을 보이고 있다고 분석했다.
신승철 한은 경제통계국장은 "자동차, 반도체 수출이 증가했던 긍정적인 효과가 있었기에 불황형 성장이라고 해석하기 보다는 순수출 개선 통해 경제 성장을 견인했다고 해석하는 게 더 적절하다"고 설명했다.
2분기 실질 국내총소득(GDI)은 1분기와 같은 수준을 유지했다. 실질 GDP 증가(0.6%)에도 교역조건이 나빠졌기 때문이다.
신 국장은 "2분기 0.6% 성장으로 올해 상반기 성장률은 지난 5월 전망치(0.8%)보다 높은 0.9%로 집계됐다"며 "전망대로 올해 1.4% 성장하려면 3분기와 4분기 각 0.7%가량 성장해 하반기 성장률이 1.7%가 돼야 한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