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스피

2,722.67

  • 33.17
  • 1.23%
코스닥

866.18

  • 15.43
  • 1.81%
1/3

70년 만의 최악 가뭄…생수가격 5배 '폭등'

페이스북 노출 0

핀(구독)!


뉴스 듣기-

지금 보시는 뉴스를 읽어드립니다.

이동 통신망을 이용하여 음성을 재생하면 별도의 데이터 통화료가 부과될 수 있습니다.

70년 만의 최악 가뭄…생수가격 5배 '폭등'

주요 기사

글자 크기 설정

번역-

G언어 선택

  • 한국어
  • 영어
  • 일본어
  • 중국어(간체)
  • 중국어(번체)
  • 베트남어

'70년 만의 최악 가뭄'이라는 평가 속에 극심한 불 부족 사태를 겪는 남미 우루과이에서 병물(생수) 가격이 최대 5배 가까이 폭등한 것으로 나타났다.

수도권 상수원 고갈 우려 속에 당국은 공원에 있는 우물물까지 활용키로 하는 등 '눈물겨운' 하루하루를 보내고 있다.

11일(현지시간) 우루과이 수도공사(OSE)에서 제공하는 저수지 수량 정보를 살펴보면 몬테비데오를 비롯한 수도권 젖줄인 파소 세베리노 저수지 저수율은 지난 7일 기준 6.6%에 해당하는 440만㎥에 불과하다. 이 저수지에는 6천700만㎥의 물을 가둬놓을 수 있다.

몬테비데오 주변 하루 평균 물 소비량이 55만㎥인 점을 고려하면, 앞으로 일주일 안에라도 고갈될 수 있다는 뜻이다.

실제 OSE는 자연 공급량 등을 긍정적인 변수로 넣더라도 23∼24일께에는 상수원의 물을 쓰는 데 문제가 생길 것으로 추산한다.

지난 4월 말부터 라플라타 강(리오데라플라타) 하구의 염분 농도 높은 강물을 담수에 섞어 상수도로 공급하고 있지만, 이 미봉책마저 무용지물이 될 수 있다고 현지에서는 보고 있다.

식수 부족 우려는 주민들의 생수 사재기로 이어졌고, 병물 등 소비자 가격도 폭등했다.

현지 매체인 파히나도세는 민간단체 조사 결과를 인용, 지난달 몬테비데오 주변 생숫값이 지난해 같은 달과 비교해 224% 증가했다고 보도했다.

특히 병물 가격은 467% 뛴 것으로 나타났다.

정부는 '짠물 혼합 공급'에 이은 차선책으로 한 방울의 지하수라도 더 끌어다 쓰기 위해 안간힘을 쓰고 있다.

몬테비데오 도심 한복판에 있는 바트예 공원 우물물을 퍼 올리는 게 대표적인 사례다.

최근 공원 세 곳의 지점에서 물을 떠 성분을 분석한 OSE는 '2개 지점 물은 세균학적·물리적·화학적 측면에서 소비에 적합한 것으로 보인다'는 결론을 냈다고 우루과이 일간 엘옵세르바도르는 보도했다.

정부는 공원 지하수를 정수 작업 뒤 학교와 병원에 공급하기로 했다. 이를 위해 최근 물 공급 트럭 회사 4곳과 신규 계약도 했다.

공원 내 2개 지점에서 하루에 확보할 수 있는 물의 양은 각각 360∼480㎥ 정도다.

에드가르도 오르투뇨 OSE 감사는 "이 물은 하루 소비량을 고려할 때 턱없이 부족한 수준"이라며 "예컨대 바다에 물 한 방울 정도 떨어트리는 것과 비슷할 것"이라고 말했다.

정부는 복합화력발전소 담수화 기기도 활용하기 위해 박차를 가하고 있다. 공급량은 하루 4천300㎥ 규모로 잡고 있다.

궁극적으로 단비가 내려야 해갈에 도움이 될 것이라는 게 정부 판단이지만, 상황은 비관적인 것으로 보인다.

우루과이 기상청 예보를 보면 적어도 17일까지 이렇다 할 비 소식은 없다.
한국경제TV  디지털뉴스부  조시형  기자
 jsh1990@wowtv.co.kr

실시간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