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스피

2,792.05

  • 17.66
  • 0.64%
코스닥

842.12

  • 0.13
  • 0.02%
1/2

지난해 4분기 GDP 0.4% 감소…2년 반 만에 첫 역성장

2020년 2분기(-3.0%) 이후 10분기만에 첫 마이너스 성장
민간소비·수출 부진 영향
페이스북 노출 0

핀(구독)!


뉴스 듣기-

지금 보시는 뉴스를 읽어드립니다.

이동 통신망을 이용하여 음성을 재생하면 별도의 데이터 통화료가 부과될 수 있습니다.

지난해 4분기 GDP 0.4% 감소…2년 반 만에 첫 역성장

주요 기사

글자 크기 설정

번역-

G언어 선택

  • 한국어
  • 영어
  • 일본어
  • 중국어(간체)
  • 중국어(번체)
  • 베트남어


지난해 4분기 한국 경제 성장률이 0.4% 감소해 2년 반만에 처음으로 마이너스 성장세를 나타냈다.

글로벌 수요 둔화로 수출이 부진하고, 물가 상승과 금리 상승에 의해 소비가 줄어든 데 따른 결과다.

한국은행은 2022년 4분기 실질 국내총생산(GDP) 성장률(직전분기대비·속보치)이 -0.4%로 집계됐다고 26일 발표했다.

한국경제 분기 성장률이 마이너스를 기록한 것은 코로나19 여파가 본격화했던 2020년 2분기(-3.0) 이후 10분기(2년 6개월) 만이다.

4분기 역성장에도 지난해 우리 경제는 연간으로 2.6% 성장했다. 이는 당초 한은의 전망치와 같다.

이는 2021년(4.1%)에 이어 2년 연속 성장세를 이어간 것이다. 코로나19 여파로 2020년(-0.7)에는 역성장한 바 있다.

지난 4분기 성장률이 마이너스가 된 건 2분기(2.9%)와 3분기(1.7%) 살아났던 민간소비가 다시 감소세(-0.4%)로 돌아선 여파가 컸다.

설비투자는 2.3% 늘어나는 데 그쳐 3분기(7.9%) 대비 증가 폭이 크게 줄었다.

수출은 반도체와 화학제품 등을 중심으로 5.8% 줄었고, 수입은 원유와 1차 금속제품 등이 줄면서 4.6% 감소했다.

그나마 정부소비와 설비투자가 각각 3.2% 증가하면서 4분기 성장률을 떠받쳤다.

4분기 GDP에 대한 성장 기여도는 순수출, 민간소비가 각각 -0.6%포인트, -0.2%포인트로 성장을 끌어내렸지만, 정부소비, 설비투자가 0.6%포인트, 0.1%포인트로 성장률 추가하락을 막은 것이다.

지난해 4분기 실질 국내총소득(GDI)은 실질 GDP의 감소(-0.4%)에도 교역조건이 개선되면서 0.1% 늘었다. 지난해 1분기(0.5%) 이후 3분기 만에 플러스를 나타냈다.

그러나 유가 상승 등 교역조건 악화로 지난해 연간 실질 GDI는 전년 대비 1.1% 감소해 실질 GDP 성장률을 밑돌았다.


실시간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