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스피

2,656.33

  • 27.71
  • 1.05%
코스닥

856.82

  • 3.56
  • 0.42%
1/4

30년 봉인 풀렸다…푸틴이 불러낸 '핵 망령'

페이스북 노출 0

핀(구독)!


뉴스 듣기-

지금 보시는 뉴스를 읽어드립니다.

이동 통신망을 이용하여 음성을 재생하면 별도의 데이터 통화료가 부과될 수 있습니다.

30년 봉인 풀렸다…푸틴이 불러낸 `핵 망령`

주요 기사

글자 크기 설정

번역-

G언어 선택

  • 한국어
  • 영어
  • 일본어
  • 중국어(간체)
  • 중국어(번체)
  • 베트남어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이 일으킨 우크라이나 전쟁으로 냉전 종식 후 30여년간 봉인됐던 `핵`이라는 위험한 망령의 고삐도 함께 풀리고 있다.

9일(현지시간) 미 월스트리트저널은 `핵 망령`은 핵전쟁 자체의 위험뿐 아니라 냉전 시대에나 썼던 국내 정치 도구로서의 핵 협박 부활, 핵무기를 손에 넣고자 하는 국가들의 등장을 통칭한다고 설명하며 이같이 진단했다.

그러면서 우크라이나 전쟁이 언제, 어떤 방식으로 종결될지와 무관하게 세계는 앞으로 수년간 이런 위험을 떠안은 채 살아가게 될 것으로 전망했다. 또 푸틴 대통령의 전쟁이 실패로 귀결될 경우 그 위험의 강도가 어느 정도는 줄어들겠지만 그렇다고 완전히 사라지지는 않을 것으로 내다봤다.

무엇보다 세계가 직면한 가장 큰 위험으로는 우크라이나 전쟁의 수렁에 빠진 러시아군이 전세를 뒤집으려고 소형 전략 핵탄두 등을 이용한 핵 공격을 감행하는 것이 꼽힌다.

실제로 세르게이 라브로프 러시아 외무장관은 서방과의 핵 충돌 가능성이 상당하다고 경고하면서 이런 위험이 엄연한 현실임을 새삼 일깨운 바 있다.

미국과 소련이 경쟁한 냉전시대에 주기적으로 등장했던 `핵 협박`은 이미 시작됐다.

오늘날 미국과 러시아는 양측의 불화가 핵공격으로 이어질 수 있음을 넌지시 암시하는 것만으로도 지정학적 갈등 상황에서 상대방을 단념시킬 수 있을 것이란 기대에서 핵 위협을 동원하고 있다고 WSJ은 진단했다.

국가안보 전문가인 리처드 베츠 미 컬럼비아대 교수는 이와 관련해 "핵 협박은 언제나 매우 미묘하고, 모호하다"며 "그것은 명확한 위협보다 `가능성`이라는 유령을 배양하는 효과를 낸다. 그것이 우리가 지금 푸틴으로 인해 처한 상황"이라고 말했다.

러시아가 최근 핵무기 사용 가능성을 좀 더 직접적으로 암시하기 시작했음에도 미국 등 서방이 우크라이나에 대한 지원을 오히려 강화한 것으로 볼 때 현재까지는 이 같은 핵 협박이 먹히지 않는 것으로 보인다고 WSJ은 짚었다.

하지만 중국이 만에 하나 대만 침공을 선택할 경우 국제사회가 개입을 포기하도록 핵 협박을 하는 방법을 중국이 배울 수 있다는 점에서 아직 안심하긴 이르다고 이 신문은 경고했다.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 역시 남한이나 일본을 위협하는 방법으로 핵 협박 카드를 고수할 수 있고, 핵보유국인 인도나 파키스탄 역시 러시아의 상황을 주시하고 있다고 신문은 덧붙였다.

핵 협박보다 훨씬 더 미묘한 위험은 현재 핵무기 개발 직전에 있거나 핵 개발을 노리고 있는 국가들이 핵무기를 손에 넣는 것이야말로 `제2의 우크라이나`가 되는 것을 막는 최선의 방법이라고 인식하는 것이라고 WSJ은 지적했다.

소련 해체 직후 1천900기의 핵탄두를 갖춘 세계 3위의 핵보유국이던 우크라이나는 1994년 미국, 영국, 러시아 등과 `부다페스트 각서`를 체결하고 핵무기를 포기하는 대가로 영토의 안전성과 독립적 주권을 보장받았다. 하지만 우크라이나는 안보를 약속했던 당사국인 러시아로부터 침공받았다.

많은 나라가 우크라이나가 당시 포기한 핵탄두를 여전히 갖고 있었더라면 러시아가 침공을 감행하는 모험을 할 수 있었겠느냐고 반문한다고 WSJ은 전했다.

이는 서방과 핵 협상을 진행 중인 이란은 물론 이란의 주적인 사우디아라비아와 아랍에미리트(UAE) 등도 품고 있는 생각이라면서, 따라서 푸틴 대통령은 국제사회를 `핵 확산`이라는 새로운 시대로 이끌고 있는 셈이라고 이 신문은 진단했다.

(사진=연합뉴스)
한국경제TV  디지털뉴스부  이휘경  기자
 ddehg@wowtv.co.kr

실시간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