루이뷔통, 샤넬, 에르메스 등 주요 명품업체들이 지난해 역대 최대 실적을 올린 것으로 나타났다.
코로나19 사태 장기화의 영향으로 `보복 소비` 추세가 확산한 데다 `소확행`(소소하지만 확실한 행복)을 중시하는 MZ세대(1980∼2000년대 초반 출생)까지 명품 소비 대열에 가세하면서 나타난 현상으로 풀이된다.
일각에서는 허영심 또는 과시욕으로 인해 가격이 오르는데도 수요가 증가하는 현상인 `베블렌 효과`가 사치품 소비 증가의 원인이라는 분석도 나온다.
샤넬코리아의 지난해 매출은 1조2천238억원으로 전년(9천296억원)보다 31.6% 증가했다. 같은 기간 영업이익은 2천490억원으로 전년(1천491억원) 대비 67%나 급증했다.
루이뷔통코리아의 작년 매출은 전년 대비 40% 늘어난 1조4천681억원으로 집계됐고, 영업이익은 3천19억원으로 두 배 가까이 뛰었다.
가장 가격이 비싼 에르메스도 두 자릿수 매출 증가율을 달성했다. 에르메스코리아의 지난해 매출은 5천275억원, 영업이익은 1천704억원으로 각각 전년 대비 26%, 28% 늘었다.
이른바 `3대 명품`으로 일컬어지는 `에루샤`(에르메스·루이뷔통·샤넬을 합쳐 부르는 말)의 합산 매출이 3조원을 넘어선 것은 작년이 처음이다.
다른 고가품 브랜드들의 실적도 큰 폭으로 상승했다. 디올의 지난해 매출은 6천139억원으로 전년보다 87%, 영업이익은 2천115억원으로 102% 성장했다. 불가리의 지난해 매출은 전년보다 48% 늘어난 2천722억원이었다.
이런 호실적은 주요 명품 브랜드들이 지난해 제품 가격을 여러 차례 인상한 가운데 달성한 것이어서 눈길을 끈다.
루이뷔통은 지난해 5차례, 샤넬은 4차례나 가격을 올렸다. 가격 인상이 소비자들의 명품 구매 욕구를 꺾지 못한 것이다.
오히려 빈번한 가격 인상은 `샤넬은 오늘 사는 것이 가장 싸다`는 우스갯소리가 나올 정도로 소비자들의 구매 욕구를 더욱 부추기는 요인으로 작용했다.
업계 전문가들은 코로나19 장기화로 인한 `보복 소비` 트렌드가 명품 브랜드 실적을 견인한 가장 큰 요인으로 보고 있다.
해외 여행길이 막히자 여행 자금을 명품 소비로 돌리는 사람들도 늘어났다. 또 주요 소비층으로 떠오른 MZ세대의 명품 사랑도 한몫했다.
(자료사진=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