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스피

2,717.09

  • 5.58
  • 0.2%
코스닥

865.32

  • 0.86
  • 0.1%
1/3

한은 "中 완화적 통화정책, 우리나라 수출증가와 이어져"

페이스북 노출 0

핀(구독)!


뉴스 듣기-

지금 보시는 뉴스를 읽어드립니다.

이동 통신망을 이용하여 음성을 재생하면 별도의 데이터 통화료가 부과될 수 있습니다.

한은 "中 완화적 통화정책, 우리나라 수출증가와 이어져"

주요 기사

글자 크기 설정

번역-

G언어 선택

  • 한국어
  • 영어
  • 일본어
  • 중국어(간체)
  • 중국어(번체)
  • 베트남어

중국이 완화적 통화정책을 이어가면 우리나라의 대중 수출이 증가하고, 금리가 낮아지면서 주가 등 자산가격은 오른다는 분석이 나왔다.

한국은행이 10일 발표한 `중국 통화정책 변화가 우리 경제에 미치는 영향` 보고서에 따르면 중국 인민은행은 미국과의 무역 갈등, 코로나19 확산에 대응하기 위해 지급준비율과 금리를 낮춰왔다.

중국 통화정책이 완화되면서 위안화가 절하되고, 중국의 수출이 증가하면 우리의 대중 수출도 함께 증가한다고 한은은 분석했다.

우리나라의 대중 수출에서 중간재가 73.2%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는 이유에서다.

위안화 가치가 떨어지면서 중국의 대선진국 최종재 수출이 늘고, 그 과정에서 우리나라 중간재 수입을 확대하면서 중장기적으로 우리나라 대중 수출이 덩달아 늘어나기 때문이다.

또 앞으로 중국이 내수 시장을 키워갈수록 우리의 최종재 수출 비중이 증가할 것으로 전망했다.

한은은 중국의 통화정책 완화에 따라 투자자금이 우리나라로 유입되면서 우리나라 금리가 하락하고 이에 따라 우리 주식시장으로도 투자자금이 유입돼 주가가 오른다고 설명했다.

물가 측면에서는 세계 원유·원자재 수요에서 큰 비중을 차지하는 중국의 확장적 통화정책은 원유·원자재 가격 상승을 이끌고 결국 한국의 물가에도 상승 압력이 된다.

조유정 한은 경제연구원 국제경제연구실 과장은 "중국의 통화정책 변화는 무역 경로뿐 아니라 금융 경로를 통해서도 우리 경제에 상당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됐다"며 "하지만 중국이 기술자립을 위해 반도체, 바이오, 인공지능 등 핵심기술 투자를 늘리고 차세대 통신과 신소재 등 신흥산업을 육성 중인 만큼 앞으로 한·중간 무역구조 변화와 함께 중국 통화정책이 우리나라에 미치는 파급 경로에도 상당한 변화가 예상된다"고 말했다.

실시간 관련뉴스